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시중의 유동성이 실물경제로 흘러가게 하는 방법은?

-시중의 유동성과 실물경제

시중의 유동성이 부동산과 주식에 몰려 자산 가격의 거품을 만들지 않고 실물경제로 흘러가게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과 부동산에 유동성이 몰리지 않게 하는 방법이라면 다소 간단하지만 확실한 방법인 부동산에 대한 규제와 주식시장에 대한 규제를 더욱 엄격하게 적용하게 되면 해당 자산에 대해서 유동성이 흘러가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부동산의 경우에는 대출의 한도를 20%로 적용하거나 주식시장의 경우에는 본인이 가진 총 자산대비 혹은 월급대비 5%혹은 10%범위내에서만 투자가 가능하도록 제한한다면 절대 해당 시장으로 자금이 흘러들어가는 일은 없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사실 그렇게 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돈이 풀리게 되면 금리가 낮아진 상황일텐데 언젠가는 그 돈이 오갈곳이 없어지게 되고 곧이어 투자상품으로 몰릴 수 밖에 없으니까요. 다만 과거 우리나에서 해오던 전통적인 방법들이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우선 전정부에서는 소득주도경제성장을 펼쳤습니다. 최저임금을 대폭 늘리고 국민들에게 많은 소득을 안겨주면서 시장을 활성화 시키려 한 것이지요. 다만 여기에도 장단점이 있으나 굳이 이야기하지 않겠습니다.

      다음으로는 낙수효과입니다. 이는 기업등을 적극 지원하여 부유층을 더 부유하게 만들고 이들이 적극적으로 투자와 소비를 하게 한다면 이러한 효과가 저소득층에게까지 퍼져 사회가 풍요로워진다는 이야기 입니다. 이는 지금 여당 전신인 당에서 많이 주장하던 애기죠. 이 또한 장단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