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때론감동적인옻나무
때론감동적인옻나무

해외주식(shv) 배당락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매월 1일에 배당락이 발생하는걸로 알고있는데요.

shv주식 미보유인 상태에서 2일 새벽에 해당 주식 매수 후 바로 매도할 경우에는 보유한 주식이 없기때문에 배당락과 상관없는거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SHV(iShares Short Treasury Bond ETF)는 매월 배당을 지급하는 ETF로, 일반적으로 매월 1일 경에 배당락이 발생합니다. 배당락이란 주식의 가격이 예정된 배당금만큼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2일 새벽에 SHV를 매수하고 바로 매도하는 경우, 이미 배당락이 지난 후의 거래이므로 배당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 배당금을 받기 위해서는 배당락 전날(보통 전월 마지막 거래일)까지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귀하의 경우처럼 배당락 이후에 매수하고 매도하는 경우에는 배당과 관련된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다만, ETF의 경우 배당락 이후에도 주가가 배당금만큼 정확히 하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는 ETF의 가격이 기초자산의 가치, 시장 수요와 공급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당락 직후의 단기 거래에서도 약간의 가격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배당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일반적인 시장 변동성의 일부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주식의 결제일이 변경되었기 때문에 배당기준일이 만약에 1월 5일이라고 한다면, 배당락일 또한 1월 5일이 되며, 배당금을 받기 위해서는 1월 4일 장중에 매수해서 애프터마켓 끝까지 갖고 계셔야 합니다.

    배당락일이 매월 1일인 경우라면, 2일 새벽에 매수한 이상, 배당금을 받으실 수 없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배당락과 관련된 질문을 해주셨군요. 특히 해외 주식 SHV(Short-Term Treasury ETF)의 배당락 날짜와 그에 따른 전략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것 같아요. 이 부분을 명확히 이해하고 투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죠.

    먼저, 배당락일(Ex-Dividend Date)이라는 개념부터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배당락일은 주식을 보유한 주주가 배당을 받을 권리를 가지기 위해 필요한 마지막 날의 다음 날을 말해요. 예를 들어, 배당 기준일이 1일이라면, 그 전날인 1일 장 종료 시까지 주식을 보유한 사람에게 배당이 지급됩니다. 따라서 2일부터는 주식을 새로 매수하더라도 이번 배당을 받을 권리가 없습니다.

    따라서, SHV 주식을 2일 새벽에 매수하고 바로 매도할 경우, 이때는 이미 배당락일이 지났기 때문에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없습니다. 간단히 말해, 배당락과는 무관한 상태가 됩니다. 즉, 2일 새벽에 매수 후 매도하는 것은 배당락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SHV는 미국의 단기 국채 ETF로, 매달 이자를 지급하는 형태입니다. 배당락일 다음 날 매수를 하더라도 이번 배당에 대한 권리는 없으므로, 배당을 목표로 하는 투자자라면 배당락일 이전에 매수를 완료해야 합니다. 그리고 배당락일 이후에는 주가가 배당금 만큼 조정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하죠.

    결론적으로, 배당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면 2일 새벽에 SHV를 매수 후 매도하는 거래는 배당락과는 상관없습니다. 배당락일 이후의 거래는 배당과 관계없이 일반적인 매매 차익을 노리는 전략이 될 것이니 이 점을 고려해 투자 계획을 세우시면 좋겠습니다!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SHV 주식의 배당락일은 매월 1일에 발생하며, 배당을 받기 위해서는 배당락일 이전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배당락일 이후에 주식을 매수하고 즉시 매도할 경우에는 배당을 받을 권리가 없으므로 배당락과는 상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2일 새벽에 SHV 주식을 매수하고 바로 매도할 경우, 해당 시점에서는 이미 배당락일이 지나갔기 때문에 배당을 받을 수 없습니다. 즉, 배당락일 전날 종가에서 주가가 조정되는 것이지, 이후 매수한 주식은 배당과 관계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SHV는 배당기준일이 1일인 상품으로 1일까지는 해당 주식을 가지고 계셔야 합니다.

    때문에 2일에 매수 및 매도하는 것은 배당락과 관계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9월 1일이 일요일이라 그 다음 영업일인 9월 2일이 배당락일인데 미국 노동절 휴무로 9월 2일 주식휴장입니다

  • 배당락일은 주식의 배당금 지급 권리가 결정되는 날짜를 의미합니다. SHV(SPDR Short Term Treasury ETF)와 같은 주식의 경우, 배당락일에 주식을 보유하고 있어야 해당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배당락일이 지나면, 주식의 가격이 배당금 지급액만큼 하락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날짜에 주식을 보유하지 않았다면, 배당금을 받을 수 없고, 배당락일 이후 주식을 매수하고 매도하는 경우 배당금과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SHV 주식을 배당락일인 1일에 보유하지 않고 2일 새벽에 매수한 후 바로 매도하는 경우, 해당 배당금 지급 권리가 없기 때문에 배당락일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주식 매매가 배당락일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배당금 수령을 위한 보유는 배당락일 전까지 완료되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이미 배당 등이 지급되어

    배당락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보유하실 목적이 아니라면 바로 매수하시고

    다시 매도 등을 할 이유가 있나 싶습니다.

    상관은 없을 것으로 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네 배당락은 전 영업일까지 주식을 보유한 사람들 대상으로 배당락을 맞으며 배당 권리가 생기는 것입니다.

    • 하지만 배당락이 진행된 후에 매수를 한다면 이미 배당락 이후에 하락한 주식을 매수하게 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