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금리인하를 안할까요??
안녕하세요 대범한애벌래285입니다.
물가가 계속 오르고 금리가 높다고
생각이드는데요.
우리나라도 금리인하를 해야되지않나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제가 알기로는 미국보다 선제적인 금리인하는 단행하기는 어렵다고 합니다. 저소득층을 위한 금리인하보다는 무역 경상수지가 우선이기 때문이죠, 한마디로 부자들이 돈을 더 벌어먹어야 한다는 정책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미국보다 금리인하를 선제적으로 하진 못합니다. 이미 금리가 역전된 상황에서 추가적으로 먼저 금리인하를 하게 되면 국내에 투자한 외국 자본이 더 빨리 빠져나가서 각종 경제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인데요. 아마 미국의 금리인하 결정이 나오면 그제서야 우리도 금리인하를 결정할 수 있게 될거예요.
우리나라 자체로만 보면 슬슬 금리 인하를 해도 될 때가 됐습니다. 최종 목표는 2% 지만 지금 2.6% 정도로 물가 인상률이 낮아졌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미국 기준금리를 신경쓰지 않을 수가 없는데 미국 보기 9월쯤 금리 인하를 한다면 우리나라는 10월 쯤 금리 인하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는 금리 인하를 안할까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는 일단 미국이 먽거 금리 인하를 발표해야 하고
한국도 어느 정도 물가가 안정이 더 되어야 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 상승과 높은 금리는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나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하여 경기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한 가지 방법입니다. 그러나 금리를 인하하는 것은 재정적인 측면과 경제 상황을 고려해야 합니다. 적절한 시기와 조치를 통해 경기를 안정화시키고 인플레이션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우리나라도 따라서 기준금리를 인하하게 될것입니다. 하반기나 조만간에 금리인하를 기대할수있을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종원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의 경제와 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해야 하기 때문에 미국의 경제지표가 회복세를 보이고 금리를 인하한다고 하면 그 이후에 우리나라도 금리 인하 실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미국이 금리인하를 단행하지 않은 상태에서 금리인하를 하게 되면 한미금리차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이 있으므로 쉽게 결정할 수 없습니다. 또한 현재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은 상태에서 금리인하를 하게 되면 인플레이션이 더 커질 우려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