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이온과 반대인 양이온에 대해서 질문
음이온은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음전하를 지닌 입자라고 하였는데 그렇다면 반대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양전하를 지닌 입자는 양이온이라는 건데 이 양이온은 어떻게 형성되고 식물과 사람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나요?
음이온은 원래 원자가 가져야할 전자수(전기적으로 중성을 유지하기 위한)보다 전자를 더 많이 갖게되어
음전하를 띠게된 입자입니다.
음이온이 추가로 갖게된 전자는 다른 원자에서 가져온 것이며,
전자를 빼앗긴 원자는 양전하를 갖게되고 이것이 양이온이 됩니다.
이온들이 주는 영향은 각 어떤 물질이 이온화 되었는가에 따라 다르며
음이온이 특정한, 양이온이 특정한 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18족에 속하는 헬륨 네온 등을 제외한 많은 원소들이 자연계에 이온상태로 존재합니다.
예를 들면 가장 간단한 양이온인 수소 이온은 물에 녹아서 존재할 때 산성을 띱니다.
신맛이 나는 음료는 대부분 수소양이온을 포함합니다.
또 비료에 포함된 칼슘이온 칼륨이온 등도 식물성장에 필요한 물질이라 식물의 성장에 도움을 줍니다.
양이온은 원자와 전자의 안정된 상태에서 전자를 잃어 양전하를 띠게 되면서 형성됩니다. ㅡ방사선 동위원소도 위와같이 전자를 잃는 과정입니다. 그 과정에서 에너지 준위차이만큼 발생하는 힘이 원자력(아주 간단하게 설명한것 입니다)ㅡ
이런 양이온의 생성은 자연적으로도 일어나고 전기적,기계적 분해를 통해서도 인위적으로 생성됩니다.
식물의 경우 칼륨,마그네슘과 같은 양이온을 영양소로 필요로 하며 성장과 발달에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공기중의 양이온의 증가는 ㅡ특히 대기오염 물질의 양이온화ㅡ는 동식물에 해로운 영향을 줍니다.
양이온과 음이온의 균형은 공기의 질과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식물이 광합성을 하고 증산과정을 하는 과정에서 산소, 수분, 음이온 등이 생성됩니다. 이때 음이온은 주변의 공기정화는 물론 인간의 신체에 들어가서 신진대사를 촉진해주는 역할도 합니다. 대기 중의 음이온은 우주선, 자외선 및 공기 분자의 이동과 같은 과정을 통해서도 형성됩니다. 반대로 이온은 전하를 주고 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므로, 한쪽에 음이온이 생기면 한쪽에는 양이온이 발생합니다. 또한 토양 내에서 각종 질소고정세균이 관여하여 질화암모늄같은 양이온이 만들어집니다.
양이온은 공기 중에 존재하는 양전하를 지닌 입자를 의미합니다. 양이온은 일반적으로 대기 중의 먼지, 황사, 화학 물질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입자들은 대기 중의 환경 오염물질로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 물질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양이온은 원자가 전자를 잃어서 양전하를 띠는 입자로, 충분한 에너지가 전자에 주어지면 핵의 인력에서 멀리 떨어지게 할 때 이온화 과정에 의해 형성됩니다. 예를 들어, 나트륨 원자가 전자 한 개를 잃으면 양이온인 나트륨 이온이 형성되며, 베릴륨 원자가 전자 두 개를 잃으면 양이온인 베릴륨 이온이 형성되는 것이죠.
양이온은 토양과 식물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특히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등은 식물의 성장과 생명 유지에 필요한 미네랄입니다. 또한 양이온은 또한 킬레이트화 반응을 통해 식물에 필요한 미네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사람에 대한 양이온의 영향도 있는데, 양이온은 신경계를 흥분시키고 긴장시키며, 혈관계를 긴장시키고 수축시키며, 근육계를 긴장시키고 위축시킵니다. 그래서 양이온이 과도하게 존재하면 불면, 두통, 불쾌감, 혈압 증진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
그러나, 음이온은 공기를 정화하고, 세포를 활성화시키며, 혈액을 알칼리성으로 바꾸어주며, 혈액 중의 칼슘을 높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