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 거대 쓰레기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나라도 무언가 환경 프로젝트에 참여한 사례가 있나요 ?
안녕하세요 :)
태평양에는 여러 나라에서 몰려온 해양 쓰레기들이 거대한 하나의 섬을 형성했다고 하는데여,,,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나라도 무언가 환경 프로젝트에 참여한 사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 일본, 러시아와 함께 북서태평양 해양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 NOWPAP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 계획은 해양 쓰레기 문제를 포함한 해양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동 연구와 정보를 공유하고 정책을 조정하는 활동을 합니다. 또 UNEP(유엔환경계획) 및 IMO(국제해사기구)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위 기구와 함께 국제 해양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해양 플라스틱 오염 문제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별점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쓰레기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픽맨 시스템은 그 중 하나로, 해양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해 플로팅 플랫폼과 로봇을 사용하는 시스템입니다. 이 시스템은 쓰레기를 수거하고 분류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쓰레기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대처법이 제안되고 있습니다
1. 쓰레기 줄이기: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 재활용, 재사용, 쓰레기를 생성하지 않는 제품 개발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2. 쓰레기 수거 및 처리: 쓰레기를 수거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해양 쓰레기의 양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해양 청소선, 로봇, 드론 등을 활용하는 기술적인 해결책이 제안되고 있습니다.
3. 국제 협력: 쓰레기섬 문제는 국경을 넘어서는 문제이므로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합니다. 국제 기구, 정부, 비정부 기구,
기업 등의 협력을 통해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실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교육과 홍보: 환경 보호와 쓰레기 문제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통해 사람들의 인식을 개선하고 쓰레기를 적절히
처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방안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쓰레기섬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아직 우리나라가 직접적으로 해결하기위해 참여한 사례는 없다고 봐야 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