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23.08.24

아르헨티나 경제가 엄청난 물가상승을 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아르헨티나 경제에 대한 기사들을 자주 접할 수 있는데

엄청난 물가상승으로 금리도 엄청 높은 수준이더라구요

아르헨티나의 경제가 갑자기 엄청난 고물가 시대로 가게된 결정적인 요인은 무엇이라고 할 수 있나요?


현재 JP모건에서도

연말에는 190% 물가상승을 예측하던데

고금리로 물가상승을 억제하고 있음에도

물가상승을 막을 수 없는 근본적인 이유가 무엇인지도 궁금합니다

아르헨티나의 경제는 왜 갑자기 무너지게 된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르헨 경제가 쇠퇴 한것은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우선 군부독재 정권이 경제를 망친 원인 이고 잘못된 통화 정책과 서민 복지 정책으로 인한 통화 가치 하락도 원인이 되며 산업의 국유화, 외국 자본 축출, 노동자 위주의 사회 정책 등 아르헨티나가 처한 현실과 동떨어진 정책과 규제를 내세워 나라 전체를 경제적으로 고립시켰던 것이고 폐쇄적인 아르헨티나의 보호 주의 정책은 남미 시장에서 경제적 입지를 약화 시키게 된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르헨티나의 경제원인중에 하나가 바로 재정 지출 확대였다. 정부가 재정 지출을 위해 돈을 찍어냈고(결국 국채발행이다), 지난해 달러 강세 속에서 현지 통화 가치가 떨어지면서 상황이 더욱 나빠진 것이다.아르헨티나에서 경제위기가 반복되는 이유는 미국식 자본주의 때문이 아니라 아르헨티나가 철저하게 자본주의를 시행하지 않기 때문이며 자본주의의 핵심요소인 사유재산이 보호 받지 못하는 나라에서 자본주의의 성공을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르헨티나의 경우 높은 물가상승을 할 수 밖에 없는 원인들이 있어요

    먼저 불안한 정치 상황에서 인기를 얻기 위한 과도한 복지정책과 이러한 국가의 재정을 뒷받침하지 못하는 1차산업 중심의 산업 유지가 국가 재정을 파탄으로 몰고 갔어요.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낮추다 보니 아르헨티나의 화폐 가치는 급격하게 하락하게 되면서 인플레이션의 급격한 상승을 만들어버렸던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르헨티나와 같은 경우

    지나친 포퓰리즘 정책 등 여러가지 요소로 인하여

    경제가 망가져 그런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언론보도에 의하면 러우전쟁으로 인한 여러가지 부분의 인상이 크다고 합니다

    아르헨티나는 갑자기 무너진게 아니고 계속 해서 무너져 왔습니다

    미국의 금리 장난질도 타격을 입었고 나라 자체 정치인들의 부정부패도 심한대다가 교육도 못받는 사람들이 많으니

    정치인들이 더욱 장난질을 한다죠 오죽하면 축구영웅 메시를 대통령으로 추대한다는 말도 있습니다

    국민들이 바보고 못배워야 해먹기 좋잖아요

    상위 돈많은 부자들 돈만 뱉어내도 해결될 문제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통화 약세, 재정적인 불안정성, 외부 요인, 임금 상승, 신용 확대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아르헨티나의 물가 상승을 초래하였습니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통화 정책, 재정 정책, 구조 개혁 등 다양한 방안을 시도하고 있지만, 물가 안정화에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고질적인 인플레이션 문제 이외에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양적완화,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수입 비용 증가, 전임 마우리시오 마크리 우파 정부의 대규모 국제통화기금(IMF) 차관 유입에 따른 외채 상환, 지난 7월 마르틴 구스만 경제장관의 돌연 사임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어우러진 결과라고 분석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르헨티는 한때 5대부국일 정도로 잘 사는 나라였습니다. 주요 산업은 농수산물을 수출하는 1차 산업이었는데, 그 뒤 2차산업으로의 발전 보다는 복지정책에 집중하면서 국가 재정은 바닥나게 되었고, 부족한 예산을 화폐를 찍어내는 식으로 해결하다보니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되었고, 현재까지 해결의 기미기 보이지 않는 상황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