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기계공학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주기적으로 작업 때문에 단수될 경우 녹물이 나오는 이유?

오피스텔에 거주 중입니다만

이게 펌프 수리나

물탱크 청소

각종 배관 작업을 하게 될 경우

일단 단수시킨 후에 작업을 한다고 공고가 나오는데요.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녹물이나올 수 있으니

물을 많이 빼고 하라는데

실제 작업끝나고 나면

녹물이 정말 한참 동안 빼도 계속 나옵니다.

녹이 발생하는 작업ㅇ르 하는 건 아닌 걸로 인식되는데

단수 작업 후에

물 공급이 다시 되면

왜 그렇게 녹물이 많이 나오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단수 작업 후에 물 공급이 다시 되면 녹물이 많이 나오는 이유는 수도관 내부에 쌓였던 철분, 오염물질, 침전물들이

    물이 흐르면서 함께 유입되기 때문입니다. 단수 동안 물이 흐르지 않으면 수도관 내에 쌓였던 침전물들이 물의 흐름이

    재개되면서 일시적으로 빠져나오게 되죠. 특히 오래된 수도관일수록 내부에 부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물에 녹아 나온

    철분이 물의 색을 변화시키게 됩니다.

    녹물이 나오는 현상은 보통 몇 분에서 몇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해결됩니다. 이때, 물을 잠시 흘려보내면서 철분과

    침전물이 씻겨나가게 되므로 조금만 기다리시면 깨끗한 물이 나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주기적으로 작업 때문에 단수가 이루어지고 작업 후 녹물이 나오는 이유는,

    주로 배관 내부의 상태와 작업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 때문입니다.

    수도관이 노후화되거나 부식되면, 물과 함께 녹이 발생할 수 있으며, 아연도강관과 같은 오랜된 배관은 부식 방지 효과가 약해지면서 녹물이 발생합니다. 또한 물탱크 청소나 배관 작업 시 부스러진 오염물질인 부식된 물질이 배관에 남아 있게 됩니다. 이러한 물질들이 물을 틀면 녹물로 형성되어 나오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배관 청소나 녹물 필터 설치가 필요할 수 있으며, 작업 후에는 물을 충분히 흘려 보내면서 녹물이 줄어들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단수후 물 공급이 재개될 때 녹물이 나오는 주된 이유는 배관 내부에 쌓인 녹이나 이물질이 물의 흐름에 의해 다시 유입되기때문입니다. 특히 오래된 철제 배관에서는 녹이 쉽게 발생하고, 단수가 있을때 물이 흐르지 않다가 다시 흐르기 시작하면 이러한 녹이 물과 함께 나올수있습니다. 또한, 물탱크 청소 및 펌프 수리 등의 작업으로 인해 배관 내의 이물질이 이동하면서 녹물이 발생할수있습니다. 따라서 초기에는 물을 충분히 빼고 사용하는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