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사초롱은 무엇에서 유래하였는지 알 수 있나요?
과거 우리민족이 무슨 행사가 있을 때 청사초롱의 등을 들고 행진하거나 아니면 집 앞에 걸어두었던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청사초롱이 언제부터 있었고 어디에서 유래되었는지요.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전 부터 불을 밝히는 초는 귀한 물건 이였습니다. 일반인들이 혼례식에 청사초롱을 쓰게 된 것은 각종 초가 양산되기 시작한 조선 후기에 들어와서야 가능해졌는데 1844년(헌종 10)에 편찬된 『사례편람(四禮便覽)』을 보면 사혼례(士婚禮)에 2~4개의 초롱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 궁중에서 연회 때 강사초롱을 사용했으나 조선시대 초, 중기 절약을 위해 초의 사용을 억제하여 사초롱이 많이 쓰이지 않았고, 조선 후기 각종 초가 양산됨으로써 1746년 편찬한 속대전에 왕의 거둥 때 사초롱을 멘 등롱군이 호위하도록 그 수와 색을 정하였으나 이의 시행은 1804년 처음 실시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청사초롱은 한국의 전통 등롱으로, 푸른색의 비단으로 만든 몸체에 종이를 씌워 만든 것입니다. 청사초롱은 조선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주로 궁중의 연회나 양반들의 경사가 있을 때 사용되었습니다. 또한, 청사초롱은 민간에서도 많이 사용되었는데, 마을의 행사나 제사 때 사용되거나, 집집마다 걸어두어 집안의 평안을 기원했습니다.
청사초롱의 유래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중국의 청사등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청사등은 중국의 전통 등롱으로, 푸른색의 비단으로 만든 몸체에 종이를 씌워 만든 것입니다. 청사등은 중국에서 매우 오래전부터 사용되었으며, 한국으로 전해져 조선시대에 청사초롱으로 발전했습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