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푸른재규어247
푸른재규어247

조선후기 서양문물은 어떻게 들어올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조선후기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으로 서양문물이 못들어왔을거 같은데요~ 그런데 서양문물이 들어오기 시작했다는데 어떻게 들어올수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19세기 제국주의 침략에 노출된 조선은 흥선대원군 섭정하에서는 통상수교 거부 정책을 실시하였습니다. 그러나 1860년대 박규수, 오경석, 유홍기 등의 통상 개화론자들의 활약과 고종의 친정, 그리고 운요호 사건을 계기로 1876년 강화도 조약이 체결되면서 개화 정책도 추진되었습니다.

    개화 정책은 근대화 정책을 통해 부국 강병을 달성하여 제국주의를 막아내는 것을 목표를 하였습니다. 1880년대 통리기무아문이 설치되면서 본격적으로 개화정책이 추진됩니다. 당시 동도서기론을 바탕으로 한 온건개화파, 문명 개화론을 주장한 급진개화파로 나누어 지지만 이들은 모두 서양의 과학 기술, 문물을 받아들이자고 주장하여 서구 문물을 수용하게 됩니다.

  • ✅️ 쇄국정책 이후 결국 강화도 조약으로 문호를 개방하게 됨에 따라 원산항 등을 통해 서양문물이 유입될 수 있었고, 자동차, 커피 등도 바로 이때 들어온 대표적인 서양문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