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계절 냄새는 어떻게 나는건가요?
각 계절별로 특유의 냄새가 공기냄새가 납니다. 비가 오게되면 그 비 냄새라는것도 있는데.
이런 계절별 냄새는 어떻게 바뀌고 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비가 내릴 때 비 냄새가 나는 것은 흙이나 바위 속 냄새 성분입니다.
비 냄새를 실어 나르는 것은 빗속에서 출발한 작은 알갱이들 입니다.
이 비 냄새의 원인이 비가 내릴 때 만들어지는 에어로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절냄새가 정말 계절에서 나는 냄새라기보단 그 계절에 많이 맡을 수 있는걸 말하는것 같더라고요 이제 뭔지 대충 감이 와서 좀 적어보자면
봄 냄새-꽃 냄새+따뜻한 바람의 온도
여름 냄새-(비가 많이 와서)젖은 흙 냄새+그냥 잡초냄새
가을 냄새-단풍?에서 가끔 나는 달달한 냄새 있어요 이건 맡아본적 없으면 이해가 안되는데 단풍이였는지 무슨 나문지 기억은 안 나지만 가을에 빨갛게 물들는 나뭇잎 많이 떨어지면 메이플 시럽이나 꿀 비스무리한 냄새가 납니다.
겨울 냄새-얼음 냄새..라고 하면 이상하겠죠. 이것도 여름 처럼 젖은 흙 냄새가 약간 나고 근데 그게 차가운 바람입니다 그리고 나뭇가지도 얼었다 조금씩 녹고 해서 물먹은 나뭇가지 냄새가 좀 나요 그렇지만 공기가 너무 차서 막상 맡으면 또 헷갈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