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든든한황새124
든든한황새124

5급을 부르는 사무관 명칭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공무원중 5급 사무관 명칭이 언제부터 사용하게 되었으며, 유래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사무관은 조선시대 어느 지위와 유사한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5급을 부르는 사무관 명칭 "주무관"은 직급 명칭이 아닌 직무를 나타내는 명칭입니다. 과거 직급 개정으로 도입된 '주무관' 명칭은 직무 중심의 명칭이지만, 직급 인식 저하, 업무 외적인 평가 어려움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주무관' 명칭 개선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직급과 업무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5급 공무원의 명칭인 사무관은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헌법이 제정되면서 처음 등장했습니다. 이때 사무관은 3급 을류 공무원으로 분류되었으며, 이후 1953년에 3급 갑류 공무원으로 승격되었다가 1963년에 다시 3급 공무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무원 시험은 정부 수립 직후인 1949년부터 치러지기 시작했습니다. 자격시험이 아닌 임용을 목적으로 지금과 같은 공개채용 시험이 도입된 것은 1963년 입니다. 지금의 5급 공무원은 조선 시대에 종 6품인 주부나 종사관 등의 직급과 비슷한 위치 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