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푸르르름
푸르르름

작은 섬들에 대해서도 현대사회에서 중요성이 커진 이유가 궁금합니다.

예전에는 별다른 가치가 없는 섬의 경우에는

오히려 해적 등의 약탈 등의 우려가 있어서 섬에서 인구를 철수시켜서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로 만들었던 기록도 있는데

현대사회에서는 그러한 작은 섬들도 국가에서 신경을 쓰고 관리하고 있는데, 이러한 작은 섬들도 가치가 커진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사실상 작은 섬들도 국가 입장에서 뭔가 군사적 요충지로 사용한다거나, 천연자원을 얻을 수 있는 국토의 일부로 보기 시작한 결과 가치가 커진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 즉, 미래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국가가 더 신경을 씀. )

  • 안녕하세요. 이상훈 전문가입니다.

    배타적 경제수역이라고 해서 섬들도 영토이다 보니 그를 기준으로 해양 국경선이 형성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또한 과거와는 달리 바닷속 광물이나 석유등의 자원의 가치를 새로 발견하게 되고 그 가치가 엄청나게 높으니까요.

  • 조선시대는 과거 섬에 대한 정책은 공도정책, 또는 쇄환정책으로 섬의 주민을 육지로 데려와 살게 하는 것입니다. 그 이유는 왜구 등의 외적으로부터 백성들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책이었습니다.

    그러나 1880년대 쇄환정책을 중단하고 오히려 육지 주민들을 이주시키는 정책을 추진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섬을 관리하고 위함입니다.

    오늘날에 섬은 관광, 자원 개발 등 긍정적인 요소가 많아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