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피부과

그윽한흰죽지60
그윽한흰죽지60

백반증에 치료에 도움이 되는 음식

딸아이가 백반증 확진을 받아 현재 치료중인 상태입니다.

엑시머 레이저 치료를 받는 상태인데 크게 호전되지 않아 걱정인데 혹시 가려먹어야 하는 음식이나 치료에 도움이 되는 음식이 있다면 추천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호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반증은 후천적으로 멜라닌세포 소실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저색소질환입니다. 어느 연령에서도 발생하지만 대개 10~30세 사이에서 가장 흔하며 약 30%에서는 가족력이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유전적인 소인에 의하여 취약한 멜라닌세포가 환경적 요인인 자극이나 외상으로 인해 손상을 받으면 비정상적인 면역반응이 활성화되어 유발될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스트레스나 외상, 햇볕, 산화스트레스가 악화인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백반증은 치료에 대한 반응이 매우 다르며 개인차도 심하여 환자 개인에 맞추어 치료지침을 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1) 약물요법

      스테로이드는 효능에 있어 가장 신뢰성이 높은 약물로 국소적으로 도포하거나 병변내 주사, 경구요법이 모두 가능합니다. 국소 도포제로 스테로이드제나 면역조절제 등을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2) 광선요법

      자외선 치료는 부작용이 없고 장기간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백반증의 치료법 중 가장 중요한 방법입니다. 엑시머레이저는 국소 병변 부위만을 선택적으로 치료하며, 강한 에너지를 내 효과가 빠르지만 비용이 비싸고 넓은 부위는 동시 치료할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3) 수술요법

      약물용법이나 광선요법에 반응하지 않을 때 사용해볼 수 있으며 상처를 받는 부위에 백반증이 잘 발생하는 쾨브너현상이 없는 곳에서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4) 탈색요법

      백반증이 너무 심해 기존의 치료로 색소재침착을 기대하기 어려울 때 정상피부를 탈색시켜 백반증 병변과 색깔을 비슷하게 하는 치료입니다.

      5) 보조요법

      항산화제 (복합비타민)를 복용하거나 도포하는 등의 방법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백반증 때문에 따님이 고생하시는군요

      사실 백반증에 증명된 치료는 광선치료 말고는 없습니다

      엑시머레이저 벌써 하고 계신다고 하니 잘 선택하셨네요

      제가 한의사지만 먹는 약이나 음식으로 백반증에 대해서는 치료를 기대하긴 어렵습니다

      그러니 꾸준히 맥시마 레이저를 받으시는 것은 권유 드립니다 하지만 딸 아이가 아프니 걱정되시는 것이 많으시겠죠?

      먹는 것보다 중요한 것은 아이가 백반증이 커지지 않도록 자외선 차단제를 잘 바르고 자신의 백반증에 주눅 들지 않도록 심리적 서포트를 하시는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주치의 선생님이 가장 잘 아실 테니 인터넷에서 정보를 찾지 마시고 선생님과 상의하시기를 권유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백반증으로 문의주셨습니다.
      백반증은 색소세포의 파괴로 인하여 여러 가지 크기와 형태의 백색 반점이 피부에 나타나는 후천적 탈색소성 질환입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며, 피부 외상이나 염증, 반복적인 마찰, 염색약 등에 의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이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 방법으로는 국소 스테로이드 연고를 바르거나 병터내에 스테로이드를 주사하는 치료, 단파장 자외선 B(narrow band UVB)나 엑시머 레이저를 이용한 광치료, 그리고 병변의 진행을 막기 위한 경구 스테로이드 치료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치료 방법의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하여 인내를 갖고 치료에 임하셔야 합니다.
      쾌차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서울대학교 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