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중고로 구매할때 참고사항 또는 주의사항 구걸합니다
중고전기차가 16만k정도되면 모터나 감속기 같은 부속 교환시기가 되나요?
또 교환비용은 어느정도 발생할까요?
몹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후련한태양새입니다.
중고 전기차 거래 시 가장 유의해야 하는 점은 ‘의무운행기간’ 확인 여부다. 지자체 보조금을 받고 구매한 전기차는 등록일부터 2년간 의무적으로 차를 보유해야 한다. 이 기간 안에 타 지역 거주자에게 전기차를 매각하면 기간에 따라 보조금의 70%까지 환수된다. 중고차 보조금이 일종의 복지 혜택이기 때문에 지자체에서 지급한 예산이 다른 지역 거주자에게 돌아가는 일을 막기 위한 정책입니다.
여기에 내연기관차와 달리 전기차는 중고차 거래 후 판매자와 구매자가 ‘판매승인요청서’를 작성, 지자체장의 승인을 받아야하는 점도 유의해야 한다.
중고차 거래 시 가장 기본이 되는 확인서류 ‘성능점검기록부’도 전기차 전용으로 작성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개인거래시엔 성능점검기록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다. 정비업계에서는 중고 전기차 거래 시 최소한 브레이크 상태는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일반적으로 전기차는 내연기관차보다 무겁고, 감속 시 배터리를 충전하는 ‘회생제동시스템’이 탑재돼있어 브레이크에 걸리는 부하가 크다. 따라서 브레이크에 과부하가 걸렸거나, 특정 주행 환경에선 브레이크보다 회생제동 시스템으로 감속하는 경우가 많아 브레이크가 부식되는 경우도 종종 보고된다.
중고차 업계 관계자는 “같은 연식의 전기차라 해도 배터리 용량이 다르거나 히트펌프 유무 등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라며 “차령이 짧더라도 타이어 등 소모품 상태도 꼼꼼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