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산부인과

뽀로로
뽀로로

산후 우울증이 심해야 병원진료가 가능한가요?

성별
여성
나이대
30

같은 산후 우울증이어도 정도가 차이거 있을 텐데 정도가 심해야만 병원진료가 가능한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출산 직후에 생기는 게 산후 우울증이고 출산한지 몇년 지난 후에는 그낭 우울증인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 산후우울증은 출산 후 우울한 기분이나 심한 불안감을 느끼는 질환으로 보통 산후 4주를 전후로 발병하지만, 출산 후 1~2주 또는 수개월 후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기에 치료를 하는경우 효과가좋아 가급적 빨리 치료를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 산후 우울증의 정도와 무관하게 우울 증상이 있다면 병원에서 진료 및 상담, 치료 등 의료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산후 우울증은 반드시 출산 직후에만 생기는 것은 아니며 출산을 하고 최고 3년이 경과하여서도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출산한 뒤 한참 시간이 지난 후에 우울증이 발생하였다고 산후 우울증이 배제되고 그냥 우울증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정도의 차이는 절대적인 기준이 있는 것이 아니라 환자가 본인의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영향을 받는다면 병원진료가 꼭 필요하겠습니다.

      출산한지 조금 시간이 지나더라도 육아중 발생하는 우울중도 산후 우울증의 연장선상이라 볼 수 있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산후 우울증은 출산 후 4~6주 이내에 나타나는 극심한 우울감을 정의합니다. 그 이후에도 우울감은 언제든지 나타날 수 있지요. 치료가 필요한지 여부는 본인이 얼마나 힘드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가벼운 우울감이라면 친구나 가족들과 함께 풀어 볼 수도 있지만 일생 생활이 힘들 정도의 우울감이라면 병원에서 도움을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산 후 수년이 지난 후의 우울감이라면 그냥 육아와 관련한 우울감이라고 봐야 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