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과 중력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중력이 가해지는 힘은 그 사람의 몸무게와 비례를 한다고 들었는데 비행기 조종사일 경우 중력을 더 받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왜 비행기 조종사는 하늘을 날 때 중력을 증가해서 받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무게라는것은 질량에 지구의 중력가속도를 곱한것입니다.
즉, 질량이라는 것이 가속도를 받게되면 무게가 발생한다는 뜻입니다.
공중으로 날아오를 때 가속도가 발생하므로 그만큼의 무게가 더 생겨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전투기 조종사들은 보통 6G에서 9G까지의 압력을 받는다. 지상에서 서있을때의 평소압력을 1G라 했을때 6배에서 9배까지 압력을 받는다는얘기다. 질량이 있는 물체가 속도를 내면 그속도에 비례하여 압력은 증가한다..하여 조종사들은 고압어서 버티는 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 합니다.
중력은 힘입니다.
이 힘이란 것은 물체가 가속할 때 받습니다.
비행기 조종사는 짧은 시간내에 속도가 빨리 증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갑작스럽게 힘을 받게 되고, 이것이 조종사에게 부담을 주게 됩니다.
비교할 때, 중력의 배수로 비교를 하는 것이지 실제로 중력이 늘어난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위 질문은 우리가 경험적으로 이해할수있습니다. 엘리베이터를 탈때 엘레베이터가 1층에서 위층으로 올라가는 순간에 우리 몸이 무거워진다는 느낌을 받을 것입니다. 반대로 엘리베이터가 내려가는 순간에 몸이 가벼워진다는 느낌을 받을 것입니다. 또 자동차를 탔을 때 코너를 돌면서 몸이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느낄수 있을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물체가 가속(속력이 점점 빨라지거나 느려지는 운동)운동을 하기 때문에 나타납니다. 이러한 가속도를 마치 중력처럼 표현할 수 있습니다. 가속도=중력 은 아니지만 가속운동을 할 때 힘을 받으니 그 힘을 중력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그래서 비행기가 빠른 속도로 커브를 하거나 회전을 할 때 아주 큰(5G 이상)힘이 작용합니다. 지구에 의한 중력을 증가해서 받는것은 아니고 운동에 의한 힘을 받는것인데 이를 중력의 크기의 배수로 표현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