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백신뭐가더 좋을까요????
모더나 vs화이자 뭐가더좋을까요??지인들은 화이자 맞고 시름시름 앓아 누워있던데...걱정이 많이되네요ㅠㅠ
안녕하세요. 김창윤 의사입니다.
특별히 두 백신 중에 어느 백신이 좋다하는 것 없습니다.
둘다 중증 부작용의 가능성은 낮고 코로나 19에 대한 효과는 좋습니다.
너무 걱정 마시고 맞으시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성진 의사입니다.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코로나19로 인한 입원 예방 효과 면에서 현재 자국 내 배포된 백신 중 모더나가 가장 뛰어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CDC는 17일(현지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모더나와 화이자, 얀센 백신 효능 비교 자료를 공개했습니다. CDC 연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입원 예방 측면에서 모더나 백신은 93% 효능을 보였고. 같은 연구에서 화이자 백신은 88%, 얀센 백신은 71% 효능을 보였습니다.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화이자나 모더나 백신 두가지 모두 mRNA매개 백신으로 두가지 중 어떤것을 접종하시어도 가능합니다. 접종후 통증 및 열감이나 두통 오한에는 아세트아미노펜성분의 해열 진통제를 복용하시길 권장드리며 갈근탕과 함께 복용시 오한 및 근육통완화에 효과적입니다.
백신 접종후 1달이내에 가슴통증 두근거림 답답함과 같은 증상이 있는 경우 심근염의 위험성이 있기에 이부프로펜 성분의 소염진통제를 우선 복용하고 접종과의 인과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병원에 방문하시어 검사 및 진료를 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이현승 약사입니다.
질문자님께서는 1차 백신으로 모더나, 화이자 백신 중에 어떤 백신이 좋은지 궁금하시군요.
2가지 백신 모두 작용기전이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어떤 백신을 접종 맞아도 되며, 접종 후 면역반응에 의해 발열, 통증, 가려움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해당 증상들은 자연스러운 현상이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접종하고 있는 백신은 특별이 어떤것이 특별히 좋다고 할수 없어요.
부작용의 가능성은 매우 낮으며 효과는 비슷합니다.
특정 연령대에 혈전증이 생긴다는 극히 드문 보고가 있습니다.
공급되는 백신의 양과 시기에 따라서 접종하는 백신의 종류가 결정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차이점이 그렇게 크지는 않습니다.
출처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0727500140
Q. 화이자·모더나 백신의 차이점은.
A.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는 두 백신 모두 90% 이상으로 별 차이가 없다. 그러나 델타 변이에 대한 효과는 연구에 따라 크게 엇갈린다. 캐나다 연구진에 따르면 델타 변이 예방률은 1차 접종 기준 모더나 72%, 화이자 56%로 나타났다. 반면 영국 공중보건국 연구팀은 1차 접종시 화이자의 델타 변이 예방효과가 36%에 그쳤다고 밝혔다. 이 논문대로라면 1차 접종만으론 델타 변이에 대한 화이자 백신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다만 2차 접종을 마치면 예방률이 88%까지 오르는 것으로 나왔다. 영국 논문은 모더나 접종 효과를 따로 적시하지는 않았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여러 논문을 정리해 결과, 델타 변이에 대한 예방효과가 모더나와 아스트라제네카(AZ)는 10% 이내, 화이자는 10~20% 이내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얀센 백신은 델타 변이에도 예방효과가 떨어지지 않았다.
안녕하세요. 김학진 약사입니다.
모더나 백신과 화이자 백신은 같은 mRNA백신으로 특징과 이상반응 등이 유사합니다.
<일반적인 이상반응>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일반적으로 접종부위 통증이나 부기, 발적 등이 발생 할 수 있으며, 전신반응으로 발열, 피로감, 두통, 근육통, 메스꺼움ㆍ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접종 후 흔히 나타나는 반응으로 대부분 2~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mRNA백신의 특징적인 이상반응>
mRNA 코로나19 백신인 모더나 백신의 경우 접종 후 매우 드물게 심근염/심낭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슴통증, 압박감, 불편감, 호흡곤란이나 숨가쁨, 호흡시 통증, 심장이 빠르게 뛰거나 두근거림, 실신의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의사의 진료가 필요하므로 접종기관 또는 가까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이상반응의 정도는 개인차가 있기 때문에 어떤 백신이 더 힘들지 덜 힘들지는 백신접종 전까지는 알 수 없습니다. 더 중요한 것은 접종전 컨디션 관리와 접종 후 이상반응에 대한 조치인 것 같습니다.
따라서, 좋은 컨디션일때 백신 접종을 하도록 하시고 백신 접종 후에는 2~3일간 무리하지 마시고 안정을 취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접종 후 접종부위 통증이 있는 경우 통증 부위에 깨끗한 수건 등으로 냉찜질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접종 후 발열이 있는 경우에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쉬어 주시기 바라며, 발열로 인한 불편함이 있는 경우에는 해열ㆍ진통제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접종 후 근육통이나 두통이 있을 수 있는데 예방접종 후 면역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반응으로 2~3일 내 자연스럽게 호전되지만, 48시간 이상 증상이 지속되면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열이 지속되면 예방접종 전에 코로나19에 감염되었거나 항체가 생기기 전에 감염된 것일 수 있으므로 즉시 선별진료소를 방문하여 검사를 받도록 합니다.
화이자와 모더나는 기본적으로 비슷한 방식으로 개발된 백신들이며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세부적인 구성 성분에는 차이가 있겠지만 사실상 가장 큰 차이는 개발한 업체가 화이자이냐 모더냐이나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노동영 의사입니다.
둘 다 큰 차이가 없어 아무거나 맞으셔도 상관 없습니다.
코로나 백신마다 항체 형성률이 다르지만, 아스트라제네카의 경우 약 70%, 화이자, 모더나는 95%, 얀센은 66% 정도 됩니다. 예방효과만 봤을 때 모더나 화이자가 더 우수합니다. 부작용은 큰 차이가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닥터최입니다.
기전 상 모두 mRNA 백신으로 큰 차이는 없습니다. 또 백신에 대한 이상반응은 개인차가 매우 크므로 짐작하기 어렵습니다.
미국에서 연구된 아래 자료를 살펴보면 모더나가 이상반응이 심해보이지만 접종군이 모두 다르며 1:1로 비교한 연구가 아니라 의미는 없지만 참조삼아 확인하시라고 올려드립니다.
1. 화이자
미국에서 16세 이상 160만명을 대상으로 백신 접종 후 이상반응을 조사한 결과,
접종부위 통증, 발적, 부종, 가려움이
1,2차에서 65% 관찰되었고
피로, 두통, 근육통이
1차에 각각 29, 25, 17%에서
2차에서 48, 40, 37%에서 보고되었습니다.
특히 2차 접종 후에는 오한, 열, 관절통 등도
각각 20% 정도 보고되었습니다.
대부분 접종 다음 날 이상반응이 생겼다고 관찰되었으며 12-15세에서도 높은 빈도로 보고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이상반응은 65세 이상에서는 덜 빈번하게 발생했다고 합니다.
증상을 동반한 코비드 19를 예방하는 efficacy가 95%를 보였고,
중증 알러지 반응인 아나필락시스가 5/1,000,000,
심근염/심막염 (16-39세) 16/1,000,000,
발생하였습니다.
2. 모더나
역시 미국에서 2백만명을 대상으로 백신 이상반응을 조사한 결과,
접종부위 통증, 발적, 부종, 가려움이
1,2차에서 각각 74, 82%에서 관찰되었고
피로, 두통, 근육통이
1차에 각각 33, 27, 21%에서
2차에서 60, 53, 51%에서 보고되었습니다.
2차 접종 후에 오한, 열이 40% 정도에서 관찰되었고
관절통도 각각 32% 정도 보고되었습니다.
모더나 역시 대부분 접종 다음 날 이상반응이 생겼다고 보고되었으며
화이자와 마찬가지로 이상반응은 65세 이상에서는 덜 빈번하게 발생했다고 합니다.
증상을 동반한 코비드 19를 예방하는 efficacy가 94%를 보였고,
중증 알러지 반응인 아나필락시스가 2.8/1,000,000,
심근염/심막염 (16-39세) 16/1,000,000,
발생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는 백신 접종군들의 특색이 매우 다르고 다양하며 1:1로 비교한 연구가 아니기때문에 무엇이 우수하다고 판단하기 힘듭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무엇을 접종해도 큰 차이를 찾기는 어렵습니다.
안전한 접종 받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모더나 vs화이자 뭐가더좋을까요??지인들은 화이자 맞고 시름시름 앓아 누워있던데...걱정이 많이되네요ㅠㅠ
- 효과는 둘 다 비슷하고요 부작용 면에서는 화이자가 약간 덜하네요
안녕하세요. 송용호 약사입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은 DNA를 주입한 바이러스 벡터 백신이고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은 m RNA 백신 입니다.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백신은 면역세포를 활발하게 해주는 장점, 유통과 보관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드물게 혈전증 부작용이 있어, 심한 두통이나 신체 곳곳에 멍이 생기는 경우에는 병원에 내원하셔야 합니다.
모더나와 화이자 백신은 중화항체를 많이 만들어내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드물게 심근염 부작용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흉통, 심계항진,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면 병원에 바로 가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1. 모더나/화이자 백신은 mRNA를 활용한 신기술 백신으로 둘 다 기전이 똑같습니다. 그래서 부작용발생빈도나 효과가 동일하니 아무거나 접종하셔도 무방합니다.
- 다만 모더나가 좀더 선호경향이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솔직히 말해 모더나, 화이자 모두 동일성분이며 부작용의 발생확률 및 코로나 예방효과 또한 비슷합니다.
어떤 백신이 더 좋다고 고르기는 어려우므로, 의료기관 수급상황에 따라 잔여백신을 통해 맞으시는 것이 좋을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화이자, 모더나 둘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백신입니다. 이상반응은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나므로 작성자님도 아플 것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혹시 모르니 진통제를 준비해두세요.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화이자와 모더나는 둘다 mRNA 백신으로서 큰 차이는 없습니다. 백신효과 또한 화이자는 95%, 모더나 94%로 큰차이는 없으며 두 백신 모두 접종 후 흔히 생기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지만 대부분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둘다 같은 mRNA타입 백신이며 효과와 이상반응이 비슷하게 나타났습니다. 30대 이상이라면 둘다 상관없고 30대 미만이라면 화이자를 추천합니다. 모더나는 북유럽 일부국가에서 30대 미만에 접종을 시행하지 않습니다.
백신간의 효과와 역할은 비슷하나 항체 형성률은 화이자 모더나 90% 이상 얀센과 AZ는 60~70%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화이자나 모더나 간에는 큰 차이가 있지는 않으므로 당일 가능한 백신으로 접종하시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화이자와 모더나는 같은 기전(mRNA 방식)의 백신으로
동일한 원리로 백신의 효과를 나타냅니다.
회사별로 사용되는 mRNA의 부분 등은 차이가 있을 수 있을 수 있습니다.
두 백신의 차이는 바이러스의 mRNA 중 어느 부분을 사용했느냐와 mRNA를 LNP로 감쌀 때 어떤 종류의 LNP를 사용했느냐 입니다.
다만 아직 회사에서 이러한 정보를 상세히 공개하지 않아 비교하기는 어렵습니다.
효과면에서는 유사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어느걸 접종하셔도 무방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화이자나 모더나 선택에 큰 차이가 있지는 않으며 부작용도 비슷합니다. 다만 최근 심낭염/심근염에 대한 문제로 유럽 일부에서 젊은 층에서의 모더나 접종을 금지하였기에 걱정이 된다면 화이자로 접종하는 것이 나을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모더나와 화이자 모두 mRNA 방식의 백신입니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접종 권장 기간이 모더나 4주, 화이자 3주이고
접종 할 때 mRNA 양이 모더나가 더 많습니다.
그래서 항체형성되는 양이 더 많고 그만큼 이상반응도 더 많이 발생합니다.
항체형성률은 두 백신 모두 비슷합니다.
백신 접종후 이상반응이 나타나면 지체마시고 진료받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