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커피, 술 소비가 줄어들면서 소상공인 폐업이 늘고 있다는데요? 언제 회복할까요?

경제, 정치의 불확실성으로 인해서 소비가 위축되고 있다고 합니다.

커피, 술 소비가 점차 줄어들면서

폐업을 하고 있는 카페가 늘어난다고 하는데 회복의 기미가 보이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국내 카페는 사상 최대의 숫자이며 그런 상황에서 내수소비는 지속적으로 급감하고 잇는 상황입니다. 거기다 글로벌 원두가격은 사상최고에다가 환율이 급격하게 오르다보니 수익성이 악화되다보니 이런 상황에온것입니다.

    그렇다면 결국은 중요한건 환율이 안정화되고 원두가격이 다시금 하락세가 오면서 원가경쟁력이 다시 생겨야 지금의 저가커피들의 수익성 악화가 해결될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정부의 재정건전성이유로 정부의 재정지출이 역대 최저수준으로 감소한 상황입니다. 즉 올해는 이러한 정부지출이 크게 증가하여 내수부양을 위한 추경이 예산이 본격적으로 확대가 되어야 자영업 지원과 내수소비가 살아나야 본격적으로 국내 자영업 회복세가 이어질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우리나라 내수는 현재 IMF 수준과 비슷할 정도로 안좋다고 보고 있습니다.

    • 그 이유는 지속적인 환율 상승으로 물가는 상승하는데 소득은 그대로 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과거에 비해서 사용할 수 있는 화폐가 줄어들었습니다.

    • 따라서 지금 내수를 살리기 위해서 소비 지원금을 풀고 있기 때문에 1분기를 지나면서

      내수가 어느정도 회복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도 온라인 소매업을 하고 있지만 최근 3개년 동안 최악입니다 가면 갈수록 뚝뚝 매출이 떨어져 왔고 얼마 전에 은행에가 보니까 제 매출을 보고 그냥 사실상 폐업이라고 보셔도 되겠네요 라고 하더군요 대출도 안 됩니다 결국은 소비자들이 돈이 있어야 합니다 아는 사람들에게 바우처를 지급해서 소비할 수 있게끔 만들어 주거나 중금리 고금리를 저금리로 대환 또는 만기 연장 등을 해 주는 국가적인 도움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노인들에게 매달 2조 원씩 연금을 주고 있지요 기본 소득 말입니다 이분들이 쓰지를 못 하고 있습니다 차라리 젊은 세대에게 준다면 소비를 할 텐데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커피와 술 뿐만아니라 외식 전체 및 오프라인 상점에서의 소비가 줄어들어 소상공인이 무너지고 있습니다. 경제회복을 위한 획기적이고 확실한 정책이 나올때까진 계속 폐업이 늘어날 것으로 생각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답변 드립니다.

    아직까지 회복의 기미는 보이지 않는 것 같은데요.

    우선은 현재 대한민국이 처한 정치적 상황이 해결되어야 할 것 같아요.

    정치적으로 안정 되고 나서 민생 회복을 위한 정책이 실시될 것 같은데

    이후 경기가 부양된다면 그나마 경제도 회복이 될 것 같네요.

    하지만 요즘은 글로벌 경제가 워낙 안 좋기 때문에 국내 상황이 아무리 좋아진다 해도

    크게 좋아지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회복의 기미가 아직은 보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일단 소상공인(자영업자)가 너무 많아서, 공급이 과도하게 초과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수요가 획기적으로 늘거나 공급이 줄지 않는 이상 어려울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한중 경제전문가입니다.

    소비 위축과 높은 금리로 자영업 폐업 증가, 회복은 금리 인하, 경기 반등 여부에 달려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커피와 술의 소비만 줄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개인 소득의 증가보다 물가 상승율이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가계의 실질 소득은 줄어들고 있습니다. 또한 금리도 높은 상황을 오랜기간 지속하면서 금융비용이 증가하여 소비가 감소하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국민소득상승 또는 물가 하락 등으로 실질소득이 증가하는 상태가 되어 가계 소비가 증대되는 선순환 구조가 갖춰줘야 해결 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올해 경제 상황은 정치적 리스크, 미국 리스크 등으로 회복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