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WINTERFELL
WINTERFELL

미연준(FED)의 12월 기준금리 빅스텝(0.5%) 인상의 이유는 무엇인가요?

2022년 세 차례의 자이언트 스텝으로 이어온 기준금리 인상을 미연준이 네 번째 12월에는 빅스텝으로 인상하였습니다. 그 이유가 인플레이션의 상승이 꺽였다는 판단에서인지,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 때문인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의 말씀에서 답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그동안 세차례의 자이언트 스탭을 통해서 미 연준은 빠르게 금리인상을 하였습니다. 이로 인해서 다행인지 7월을 정점으로 점점 CPI값이 내려가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CPI값이 내려가는에 여전히 실업률은 높고 임금인상률이 높다는 점은 연준에게도 큰 부담이 되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기에 예상보다 빠른 인플레이션 억제에 대해서 시장의 기대에 부응하는 0.5%의 빅스탭을 갔습니다. 하지만 이 금리 인상 후에 내년에도 긴축은 꾸준하게 이어진다는 전제조건을 달게 되다보니 시장이 생각했던 0.5%의 빅스탭이 아니라 여전히 숨통을 죄는 자이언트 스탭의 느낌을 받았을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의 경제가 실업률이나 임금이나 비농업고용지수를 보고 판단시에는 여전히 건강한 상태이기는 하나 일각에서는 고금리의 여파가 한번에 터지게 되면 경기침체의 늪이 더욱 깊어질 수 밖에 없다는 우려가 크다보니 연준에서도 적정수준의 금리로 조금 더 길게 바라보자는 관점으로 금리를 인상하게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50bp의 인상근거는 9%대의 물가상승률이 7%대로 내려온점은 긍정적이나 여전히 절대적인 물가상승률이 높기때문에 금리인상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물가상승의 경우 상승흐름은 다소 완화되었지만 여전히 상방가능성도 열어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5%까지는 금리인상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직은 금리를 인하할 시점은 아니라고

      판단한 것 같습니다.

      현재 인플레이션이 둔화되고 있지만 아직도 물가상승률은

      7% 이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금리인상을 하여 물가를

      더 낮추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