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순한나방188
순한나방188

물을 2리터 이상 마시면 무조건 좋은건가요?

어떤 사람은 물을 너무 많이 마시면 안 좋다하고

또 통상적으로는 하루 물 2리터 이상 마시면 좋다고하는데

사람의 체질 마다 다른건가요? 그렇다면 어떤사람이 많이 마셔야하고

어떤 사람이 적게 마셔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WHO에서 권장하는 일일 물 섭취량은 1.5L ~ 2L 정도 됩니다. 1.5에서 2L 정도 물을 섭취하게 되면 신진대사가 활발해지고 노폐물 및 피로회복에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보통은 500ml 씩 나누어 섭취하시는 것이 좋고 한번에 섭취하면 전해질 균형이 깨질 수 있어 오히려 안 좋을 수 있습니다. 물을 많이 마시면 건강을 해칠 수는 있으나 15L에서 20L를 한꺼번에 마셨을 때는 신장이 망가질 수 있으나 일반인들이 이정도의 양을 마시기는 힘듭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수분 섭취에 대해 문의주셨습니다.
      WHO에서 권장하는 성인 하루 물 섭취량은 1.5~2리터 이며, 한번에 마실때 물의 섭취량은 0.5리터 이하로 자주 마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수분섭취가 부족할 경우 탈수증상이 나타나며 여러 질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충분한 수분섭취 하시고 건강한 삶 유지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영민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하루 물 섭취량에 대한 궁금증이 있으시군요.

      물을 반드시 많이 마시는 것이 좋은 것은 아닙니다. 2L 이상의 물을 과다하게 마시는 것도 몸에 해롭습니다.

      정확히 비례하진 않지만 결국 물을 마시는 것은 몸 속의 수분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당연히 혈액량이 늘어나고, 혈액 속에 있는 전해질의 양은 그대로라서 혈액 내의 전해질 농도, 즉 (전해질양/혈액양)은 상대적으로 줄 수 밖에 없습니다.

      몸 속에는 나트륨, 칼륨 등의 필수 전해질들이 포함되어 있는데 전해질 농도가 낮아지는 경우 심장이나 신경계에 무리를 줘서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고, 과도한 수분이 뇌압의 상승을 일으켜 혼수상태를 일으켜 심하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실제로 2002년 보스톤 마라톤에서 마라톤 선수가 10L 이상의 과다 수분을 섭취한 뒤 저나트륨혈증으로 사망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하루에 7~10컵 정도(1.5L에서 2L정도)의 수분을 섭취하시는 것이 건강에 가장 도움이 되는 양입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물은 적당히 드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많이 드신다고 해서 건강에 더 좋은 것은 아니랍니다. 보통 권장량은 1~2L 정도 되나 음식으로도 수분 섭취가 가능하기 때문에 무리해서 물을 드실 필요는 없답니다. 경우에 따라 신장 질환, 심장 질환과 같이 물을 오히려 제한해야 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건강한 분들이라면 수분 섭취양의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서민석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