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사나운카리스마애벌레231
사나운카리스마애벌레231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은 무슨 차이인가요?

이더리움이 있고 이더리움 클래식이 따로 있는데

둘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가격이 다르지만 거의 비슷하게 상승 하강하는 것 같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종원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이더리움의 사전 포크 버전입니다.

    즉, 이더리움의 후속 버전입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별개의 블록체인으로 이더리움 클래식은 통화 정책이 확립되어 있고 2억 1천만개의 토큰을 수명 주기 동안 공급할 수 있도록 한도를 두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더리움과 같은 경우 재단과 개발자 팀의 지침에 따라서 운영됩니다만 이더리움 클래식은 중앙집중식 제어를 하지 않는 완전히 분산된 플랫폼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더리움클래식은 이더리움이 DAO 해킹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하드 포크를 하기 전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상장된 코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은 둘 다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암호화폐입니다. 그러나 이 둘은 분기된 경로를 걸어왔고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2015년에 탄생한 스마트 계약 및 분산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플랫폼으로, 하드 포크를 통해 탄생한 이더리움 클래식은 이더리움의 초기 버전을 계속 유지하고 있는 암호화폐입니다.

    주요한 차이점은 이더리움은 하드 포크를 통해 블록체인을 업그레이드하고 개선하는 반면, 이더리움 클래식은 이러한 변경을 받아들이지 않고 원래의 블록체인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더리움은 개발자와 사용자들 간의 합의를 통해 블록체인을 업그레이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지만, 이더리움 클래식은 블록체인의 불변성을 중시하며 개발자의 개입을 최소화하려는 방향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 주신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의 차이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 두 코인은 이름 비슷하지 사실은 완전히 다른 코인으로 서로 관계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분기판 중 하나인데,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초기 상태를 유지하는 코인입니다. 이더리움이 해킹 당한 사건 때문에 두 종류로 나누게 됐는데 

    이더리움 클래식은 이더리움의 초기 상태를 유지하는 코인이고 

    이더리움은 해킹 사건 이후 규칙을 변경한 코인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더리움과 이더리움 클래식은 2016년에 발생한 DAO 해킹 사건 이후 블록체인이 분리되면서 만들어졌습니다. 이더리움은 해킹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 하드 포크를 통해 새로운 체인을 만들었고 이더리움 클래식은 원래의 체인을 유지하기로 한 것입니다. 두 코인은 기술적으로 유사하지만 이더리움은 더 많은 개발자와 사용자 커뮤니티를 가지고 있어 가격과 사용 면에서 더 활발하게 움직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더리움클래식은 2016년에 발생한 The DAO 해킹 사건을 계기로 탄생한 코인입니다. 이 사건 당시 이더리움 개발팀은 해커들의 공격으로부터 자금을 보호하기 위해 하드 포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 새로운 블록체인이 탄생하였는데 이것이 바로 현재의 이더리움입니다. 반면에 원래의 블록체인에는 여전히 The DAO 공격에 사용된 자금이 남아 있었고 이를 복구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기로 결정하면서 이더리움 클래식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더리움(Ethereum)과 이더리움 클래식(Ethereum Classic)은 같은 출발점에서 시작되었지만, 지금은 독립적인 두 개의 암호화폐 네트워크로 존재합니다.

    그 차이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2016년에 발생한 사건인 "DAO 해킹" 사건을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DAO 해킹 사건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위에서 작동하는 탈중앙화 자율 조직으로, 투자자들이 투표를 통해 자금을 분배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하지만 2016년 6월, DAO의 코드 취약점을 악용한 해커가 약 5000만 달러 상당의 이더리움을 탈취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하드포크와 네트워크 분리해킹 사건 이후, 이더리움 커뮤니티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하드포크(hard fork)할 것인지에 대한 격렬한 논의를 벌였습니다. 결국 커뮤니티는 두 가지 다른 의견으로 나뉘었습니다.

    이더리움(Ethereum, ETH): 대다수의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해킹된 자금을 원래 소유주에게 반환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하드포크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로 인해 새로운 체인이 생성되었고, 해킹된 자금은 복구되었습니다.

    이더리움 클래식(Ethereum Classic, ETC): 하드포크에 반대하는 구성원들은 블록체인의 불변성을 중요시하며, 해킹 사건에도 불구하고 원래의 체인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들은 하드포크 이전의 원래 블록체인을 계속 이어나갔고, 이를 이더리움 클래식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주요 차이점

    철학적 차이: 이더리움은 해킹 사건을 복구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변경하는 데 동의한 반면,이더리움 클래식은 블록체인의 불변성을 지키기 위해 원래의 체인을 유지했습니다.

    기술적 발전: 이더리움은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네트워크를 업그레이드하고, 다양한 기능을 추가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작업증명(PoW)에서 지분증명(PoS)으로 전환하는 이더리움 2.0 업그레이드가 있습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기술적 발전이 이더리움에 비해 더디며, 주로 원래의 방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커뮤니티와 생태계: 이더리움은 더 큰 개발자 커뮤니티와 더 많은 디앱(DApp), 프로젝트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 클래식은 상대적으로 작은 커뮤니티와 생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