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은 왜 보라색으로 안 보이는 건가요.
수업시간때 선생님께서 해가 질 때 붉게 보이는게 레일리 산란 때문이라고 하셨거든요. 짧은 파장의 빛이 산란되서 긴 파장 빛이 눈에 도달한다고 하시고 반대의 경우인 하늘색 하늘도 똑같은 이유로 그렇다고 하셨거든요? 근데 그럼 하늘은 파랑이 아니라 더 짧은 파장인 보라빛으로 보여야하는게 아닌가요? 보라빛이 더 산란이 잘 되는데 왜 하늘은 보라색이 아니라 하늘색으로 보이는거에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빛의 굴절, 산란 때문 입니다.
지구의 대기를 구성하는 산소와 질소가 태양빛과 부딪칠 때,여러 빛으로 분산됩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이 분산된 빛 중, 파란색 빛이 훨씬 많이 퍼지기 때문입니다.
만약 보라색 빛이 잘 퍼진다면 보라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첫번째로, 보라색 빛이 파란색 빛보다 적습니다. 두번째로, 보라색이 산란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기에는 대기가 너무 두껍습니다
그래서 실제로 높은 고도로 올라가면 보라색을 띄기도 합니다. 빛이 통과하는 대기가 두꺼우면(아침이나 저녁 등, 빛의 각도때문에 실제로 통과하는 대기의 두께가 두꺼워지죠) 빨간색을 띄는 것과 같은 원리로, 대기가 얇으면 보라색을 띄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