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적응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만2세(24개월) 남자 아이 엄마 입니다.
14-15개월부터 맞벌이 떄문에 어쩔수 없이 어린이집을 보냈습니다.
요즘 맞벌이 때문에 빨리 보내는 추세긴 하던데 저는 최대한 육아휴직동안 아이를 돌보다가
휴직직전에 어린이집을 보내게 되었어요.
저를 엄청 따르고 좋아하는 아이라 그런지 처음엔 많이 울고 했지만
적응도 잘하고 어린이집에서 생활을 잘 했구 어린이집 생활하면서 말도 엄청 늘어서
말이 빠른편이에요.!
최근에 친정에 일주일정도 갈일이 있어서 어린이집을 안보내고
이후에 보냈더니 처음엔 잘 적응하다가 요며칠 어린이집을 안가려고 울고, 어린이집에서도 선생님한테 계속 안아달라하며 울다가 집에서도 계속 안아달라했다가 혼자 잘 놀고 하네요.
이러다가 점점 좋아진다고 어린이집 선생님께서 그러시던데 아이 사회생활에서 흔히 있는 일인거죠??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네 어린이집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인 불안이나 울음은 흔한 일입니다. 특히 가정과 어린이집 사이의 변화를 겪은 후에는 감정적으로 불안정해질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는 부모와 첫 떨어짐이 낯설기 때문에
새로운 곳에 적응하는 것을 어려워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아이에게 엄마와 왜 떨어져야 하는지 그 이유와 새로운 환경에 대한 분위기 그리고 새로운 환경에서 경험할 것들을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미리 알려준다면 아이도 이해하고 받아들일 것입니다.
한참 원 적응을 하는 기간에 아이를 어린이집에 보내지 않고 친정에 맡기고 다시 어린이집에 보낸 경우 라면 또 다시 적응을 하는 텀이 있기 때문에 아이가 원에 적응을 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이 좋아요.
아이의 첫 사회생활은 어린이집 이라는 기관 입니다.
아이에게 적응의 시간을 충분히 주고, 원과 가정이 연계하여 아이의 적응력을 도와주는 것이 가장 좋은데요.
이때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보면서 아이의 원 적응을 도와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흔한일이긴한데
아이따라달라요
보통은괜찮아지나 지속된다면
애착에대한불신이 형성될수도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