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겨울에는 돋보기로 빛을 모아도 종이에 불을 붙일 수 없나요?
여름이든 겨울이든 빛을 모으는 원리는 같은데 왜 겨울에는 돋보기로 빛을 모아도 불이 나지 않을까요? 혹시 겨울에는 발화점이 너무 낮에서 그런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도 돋보기를 이용하여 빛을 모으면 발화가 가능합니다.
다만 여름에 비해 시간이 더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이유는 빛에너지의 양 때문인데요, 여름과 겨울에 들어오는 태양에너지의 양이 차이나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 때문에 계절에 따른 온도차이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철에는 태양이 낮은 각도로 떠서 빛이 수평으로 비추는 경우가 많습니다. 돋보기로 빛을 모으려면 태양의 직접적인 빛을 받아야 하는데, 수평으로 비추는 빛은 돋보기로 모아질 때 집중되지 않고 분산됩니다. 따라서 돋보기로는 충분한 집중된 열을 발생시킬 수 없어 종이를 불붙이기에는 부족합니다. 돋보기는 빛을 모아 집중시키기 위해 렌즈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돋보기의 초점 거리가 종이까지의 거리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충분한 열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돋보기는 먼 거리의 물체를 보는 데 사용되며, 종이까지의 거리는 초점 거리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열을 충분히 모으기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잘 안붙는거지 불이 붙긴합니다. 날씨 떄문이고 시간이 지나면 충분이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도 충분히 가능하다 봅니다.
그러나 여름보다 겨울에 돋보기로 불내기 어려운 이유는 있을것 같습니다.
1) 겨울철은 춥기 때문에 종이 자체 온도가 너무 낮을수 있음
2) 여름과 겨울의 태양의 높이는 다르며, 이 다른 높이와 각도로 인해 태양열은 실제로 단위 면적당 달라지게 됩니다.
여름이 더 높게 태양이 떠서 더 큰 열에너지가 지구에 도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에는 주위 온도가 낮기때문에 종이에 불을 붙이기가 쉅지않습니다 온도가 높아지면 돋보기로 불을 붙일수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