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포체2
포체222.05.07

코인 거래소에서의 상장과 폐지는 누가 정하고, 유의종목을 정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코인거래소에서의 특정 코인의 상장과 폐지는 누가 언제 단순히 코인의 발행원이 정하는 것인지.. 거래소가 정하는 것인지.. 또한 유의종목은 상승과 하락이 심하고 변동이 클 때 정해지는 걸로 알고 있는데 유의종목으로 지정하기 위해서 상승과 하락의 어느정도 변동폭의 기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각 거래소마다 기준이 있으면 내용은 상이할 수 있으나 업비트 내용으로 보면 상장기준은 사업의지속성이나 투명성 그리고 시장의 성장성등을 보고 폐지의 경우는 시장에서 발생된 문제점이나 법적문제. 화폐의 기술적 문제점등을 보고 판단한다고 알려져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유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코인 거래소 상장 폐지 관련은 거래소 측에서 임원들의 회의에 따라서 그 규정들이 정해지곤 합니다. 사실 상장 같은 경우에는 큰 거래소 몇 군데 제외하고는 돈만 주면 상장이 가능합니다. 일단 기본적인 내부 규정들이 존재하니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04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폐지 심사 조건


    1. 법적 문제

    범죄, 시세조작 및 시장 교란 연루, 암호화폐가격에 영향을 주는 부정적인 사건을 의도적으로 은폐하는 경우

    법령에 위반되거나 위반된 사실로 인해 국가정책을 통해 거래 지원이 종료되어야 할 경우


    2. 제품/기술적 문제

    상장 시 검토한 부분과 달리 기술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고 개선되지 않는 경우

    기술에 대한 진행이 미비하여 백서의 로드맵과 현저히 차이가 나는 경우

    토큰 지갑 및 기술 지원의 미흡으로 투자자들의 자금이동이 제한되거나 시장 유동성이 한정될 경우


    3. 시장성 문제

    투자자 보호를 위한 최소한의 거래량 미달로 시세조작의 위험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암호화폐 거래의 지속성이 부족하여 투자자들의 큰 피해가 우려되는 경우

    한국 커뮤니티에 대한 관리 소홀 혹은 커뮤니티 채널이 폐지될 경우


    4. 프로젝트팀 영속성 문제

    해당 암호화폐의 개발 주체 및 운영 중인 재단의 구성이 해산 및 파산 등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지분구조의 변화 혹은 프로젝트 실현 가능여부에 필요한 주요인력이 변화될 경우


    폐지 심사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 유의 종목으로 지정하며 프로젝트 측에 주 단위로 2회 이상, 폐지 심사요건 자체 해소 요청을 진행합니다.

    유의 종목으로 지정된 이후 코인원에서 상장유지를 위한 개선안을 제안하고 2주 이상 개선되지 않을 경우 상장폐지를 결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