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조용한고슴도치110
조용한고슴도치11021.08.08

무더위에 운동하다가 나타난증상이 탈수맞을까요?

거의 2년동안 운동을 안하다가 몇일전에 39도에 육박하는 날씨에 실내풋살장에서 더운상태로 한 15분 정도 뛰고 너무 힘들어서 쉬고있었는데 손발이 저리고 복근쪽도 저리고 머리도 어지럽더라구요.

머리에 물 붓고 이온음료 마시고 일어서서 몇걸음 움직이는데 손저림도 심해지고 뒷목도 저림? 아무튼

피가 잘 안도는 느낌이들어서 누워있었어요. 손가락 끝이 목욕탕에 있으면 쪼글쪼글 해지듯이 쪼글쪼글해져있고

손바닥에 쥐가나는것처럼 경직되고 그래서 사람들이 막 주물러 줬었거든요.

119 가 너무 늦게와서 오는 동안에 다행히 회복되긴 했는데 이게 탈수증상 맞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탈수는 땀을 흘리면서 적절한 수액 보충이 원활하지 않거나 저농도의 용액으로 수액 손실을 보충하는 경우 혈액의 용적이 감소하게 되어 발병하게 됩니다. 심박동이 빨라지고 극도로 위약해집니다. 어지럼증과 두통이 있으며 땀을 많이 흘리고 실신할 수도 있습니다.약간의 정신 혼란이 있을 수 있으나 수분보충후 완전히 정상으로 돌아옵니다.손발저림. 오심, 구토, 복통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명훈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온열 질환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무더운 여름에 야외활동을 많이 한다면 온열질환인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심하면 열사병까지 나타날수 있습니다. 고온에 땀을 많이 흘리면서 탈수로 인하여 발생한 것으로 생각되며 온열질환에 취약한 체질인 경우에는 더울때 격한 야외 활동은 자제하시고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주셔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인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탈수증상일 수도 있겠지만 그보다는 과호흡으로 인한 알칼리증으로 나타난 문제일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두가지가 겹쳐서 나타난 문제 일 수도 있겠구요. 탈수로 인해서 쓰러진 경우는 저혈압 증상으로 무기력하고 피로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더운날씨에 무리한 운동을 하게 되어 체온이 급격하게 올라가게 되는것을 열사병이라고 합니다.

    우리 몸의 체온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는 외부 온도와 상관없이 체온을 조절하는 체온 조절 중추가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그런데 체온조절중추의 능력을 넘어설 정도로 장시간 뜨거운 햇볕에 노출되거나, 지나치게 더운 장소에 오랫동안 있으면 체온조절중추의 기능을 상실하여 우리 몸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합니다. 이를 열사병이라 합니다.

    병원에 가기 전에 환자의 체온을 내려주어야 합니다. 의식이 없는 환자는 기도 유지와 호흡 보조를 해주면서 신속히 병원으로 옮겨야 합니다. 환자의 체온을 내려주기 위해서는 증발 현상을 유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의복을 제거하고 선풍기를 쐬어 주거나, 분무기로 피부에 25℃ 정도의 물을 뿌려주거나, 큰 혈관이 지나가는 서헤부, 목, 겨드랑이 부위에 아이스팩을 붙여 주는 것이 좋습니다. 병원에서는 중심 체온(흔히 항문 체온 측정)을 관찰해가며 지속적으로 체온을 조절합니다. 의식이 없는 경우는 기도 유지, 호흡 보조, 산소 공급 등을 시행합니다. 환자가 경련을 하는 경우에는 항경련제를 투여합니다. 저혈압인 경우는 수액을 투여하며 필요시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는 약물을 투여합니다. 그 외에 여러 장기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치료를 수행합니다.

    출처 - 서울아산병원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열 피로(일사병)는 열에 의해서 유발되는 가장 흔한 질환 중 하나로, 수분이나 염분이 결핍되어 발생합니다. 무더운 환경에서 심하게 운동하거나 활동한 뒤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열 피로는 더운 곳에서 열심히 운동하거나 장시간 햇볕을 쬐면 발생합니다. 토할 것 같은 느낌, 어지러움, 두통, 경련이 나타나며, 일시적으로 쓰러질 수도 있습니다. 여름에 많이 발생합니다. 하루 중 기온이 제일 높은 낮 2~3시에 활동량이 많으면 주의해야 합니다.

    체온이 정상보다 약간 상승하지만, 보통 41℃ 미만입니다. 발한이 지속되고, 탈수가 일어납니다. 두통, 무력감, 식욕 부진, 현기증 등이 나타납니다.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열사병으로 진행합니다.

    더운 환경에서 그늘지고 선선한 장소로 이동합니다. 꼭 끼는 의복을 느슨하게 하며, 가능한 의복을 제거합니다. 의식이 있으면 입으로 1리터의 수분을 섭취하며 쉽니다. 만약 환자의 체온이 오르면서 의식이 나빠지면 입으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을 멈추고 병원으로 이동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열 피로는 대부분 회복됩니다. 그러나 적절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열사병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주위가 덥고 의식이 없어졌다고 해서 모두 열 피로인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의식이 없는 환자는 의료기관에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많이 놀라셨겠습니다. 더위에 무리를 해서 운동을 하면 나타날 수 있는 증상입니다. 호흡이 가빠지면서 어지럽고 식은땀이 나고 손도 저리지요. 과호흡 증후군이라고 합니다. 호흡을 안정시키면 대부분 저절로 좋아지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실 필요는 없고 다음부터는 너무 더울때 무리한 운동은 피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더위에 운동을 하시면 몸의 수분 손실이 많이 됩니다 이때 나 지금도 같이 빠지는데 상기 증세로 근육에 경련이 온다거나 손발이 저릴 수 있습니다 말씀만 봐서는 탈수증세인 것도 같습니다 너무 더울 때는 야외 활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열탈진은 체온이 굉장히 높게 올라가야합니다.

    일시적인 열실신 초기증상을 느끼신것으로 생각됩니다.

    여름철애ㅔ는 적당한 휴식과 충분한 수분섭취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 /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고온 환경에서 장시간 야외활동을 하시면, 탈수나 체온조절기능 장애로 인해 열사병과 같은 온열 손상 질환들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하여 어지럼증이나 두통, 의식장애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열사병 발생시 그늘진 곳과 같이 시원한 곳으로 옮겨주시고 다리를 심장 높이보다 올린 자세로 충분한 수분 섭취를 해주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온열 질환이 생기지 않도록 가급적 야외 활동을 자제하시고, 충분한 수분섭취를 해주시길 바랍니다.
    답변에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탈수 및 더위로 인하여 나타난 증상으로 보여집니다. 이렇게 무더운 날에는 수분이 증발하고 체내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현재와 같은 어지러움 및 신경계 관련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매우 위험할 수 있습니다. 폭염 등의 날씨가 매우 더운 상황에서는 바깥 운동보다는 실내에서 충분한 휴식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