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오늘배움
오늘배움

'주가의 복리적인 특성'에 대해 알려주십시오.

'주가에는 복리적인 특성이 있다.'고 하는데 어떤 의미인지 알려주십시오.

예시도 있다면 좋겠습니다.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주가의 복리적인 특성이라고 하는 것은 주가의 경우에는 상승하는 경우 매도를 하지 않더라도 확정적인 수익이 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보니 그 상승에 복리적인 성격이 더해지는 것이에요.

    예를 들어서 오늘 3%가 상승하고 내일 5%가 상승한 경우 8%의 상승이 아니라 오늘 103원이 내일은 108원이 되는 것이 아니라 108.15원이 되는데, 기존 3원의 상승분에 대해서 5%가 함께 상승했기 때문에 복리적인 효과라고 하는 것이에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를 붙이는 단리와 다르게 복리는 원금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원금에서 생기는 이자에도 원금과 동일한 이율의 이자를 붙이는게 복리인데, 주가도 최초투자주가에 수익률이 곱해지는게 아니라 원금+수익의 합에 다시 매일 주가변동에 따른 수익률이 곱해져서 계산됩니다.

  • 주식의 복리적인 특성은 투자자가 투자한 자본에 대한 수익률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복리적으로 증가한다는 개념을 말합니다. 이는 투자한 자본에 발생한 수익을 다시 원금에 더해 가면서 원금과 함께 수익도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10%의 연간 수익률을 가진 투자에 1년 후에 100만원을 투자했다면, 1년 후에는 110만원이 되고, 2년 후에는 121만원이 됩니다.

  • 주식은 매일매일 복리로 올라간다고 볼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퍼센트 개념으로 봤을때 그러한데,

    매일 1%씩 오른다고 가정하면

    첫날은 100의 1%

    둘째날은 101의 1%

    셋째날은 102.01의 1%가 상승합니다.

    이처럼 매일매일 전날의 몇퍼센트만큼 오르고 내리기 때문에 복리개념입니다.

  • 주식과 같은 경우에는 매일매일 가격이 변동됩니다.

    이에 3일 연속 1%씩 상승을 한다고 하면 3%가 아닌 약 3.04%의 효과가 있는 등

    이러한 것이 복리적인 특성입니다.

  • 안녕하세요.

    상승할때의 복리를 말씀하시는거 같습니다.

    만약 주가가 10만원이었는데, 어제 10% 올라서 오늘 11만원이되 었습니다. 근데 오늘 또 주가가 10% 오른다면, 10만원에서 20% 올라서 12만원이 되는게 아니라 10%오른 11만원에서 다시 10% 오르는거라 12만1천원이 됩니다.

    이런식으로 오른 금액에서 다시 더 오르는 복리효과를 말씀하시는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