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4.03.25

조선시대 마패는 어떤 용도로 사용됐나요?

흔히 마패를 생각하면 조선시대 암행어사의 상징인 마패를 생각합니다. 그런데 암행어사의 상징으로만 사용될 것 같지는 않은데, 조선시대 마패는 어떤 용도로 사용됐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마패는 암행어사 등 관리가 한양(도성)에서 지방으로 왕명을 받아 공무를 수행하러 갈 때 역참에서 말을 빌리는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마패에 그려진 말의 숫자만큼 말을 이용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마패는 관리들이 공무로 지방에 갈 때 나라의 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증표로 쓰던 패입니다.

    나라에서는 전국의 주요 지역에 말을 빌릴 수 있는 역을 설치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마패는 역마지급을 규정하는 패라고 합니다.

    한마디로 관직에 따라서 말을 사용할 수 있는 숫자가 달랐다고 합니다.

    마패는 재료에 따라 목조마패·철제마패·동제마패로 구분되며, 그 형태는 원형이다. 초기에는 나무로 만들었으나 파손이 심해 1434년(세종 16) 2월에 철로 제조하였습니다. 그 뒤 경국대전 반포 시기에는 구리로 만들어 상용되었다고 합니다.

    마패의 한 면에는 대소 관원의 등급에 따라 마필의 수효를 새기고 다른 한 면에는 자호와 연·월 및 상서원인이라는 글자를 새겼습니다. 한편 왕족인 경우에는 산유자로 만든 원패로 한 면에는 말의 수, 이면에는 사용할 숫자대로 '마’자만을 새겨넣어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 역참에서 말을 대여 할 수 있는

    표식이었습니다. 조선시대는 말이 중요한 이동

    수단이었는데 모든사람이 탈수 있는 것이 아니었

    습니다. 나라에서 허가한 마패를 소지한 사람만이

    말을 이용 할 수 있었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 부탁 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마패는 왕실이나 공무원이 말을 이용할 수 있는 증서로 활용하였습니다. 마패는 1~10마리까지 말이 그려져 있으며, 갯수 만큼 이용 가능한 말의 수입니다. 일반적으로 관리는 1~3마리를 사용하며, 암행어사는 3마리 마패를 사용했고, 왕실은 10마리 마패를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마패는 고려와 조선시대 관리들이 지방으로 갈 때 나라의 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준 패 입니다.

    즉 관원이 공적인 일로 지방에 출장을 가는 경우 역마를 이용할 수 있도록 상서원에서 발급해 주는 패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마패는 먼 지방으로 임명된 모든 관리가 받는 패고

    길 중간에 설치된 역참에 가서 마패를 보여주면 거기서 말을 빌려줬습니다

    단어 그대로 말을 빌려주는 권리패 였던거죠

    암행어사는 임명될때 왕이준 임명장 봉서

    규칙이 적힌 메뉴얼인 사목

    정확히 일하란 의미로 주는 유척(자같은 것)

    마지막으로 마패를 받았는데

    앞의 두개는 왕의 임명장, 책 이라서 함부로 보여주면 안되고

    유척은 그냥 나무막대기라서

    마패가 제일 유명해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마패는 암행 어사만이 가지고 다니던 물건은 아닙니다. 조선 시대에 공무로 여행하는 관원이 역마 를 이용하기 위해 지급 받았던 패입니다. 구리로 만든 지름 10 cm 정도의 둥근 패에 뒷면에는 말이 1 마리에서 10 마리까지 그려져 있고 앞면에는 발행처와 발행일이 새겨져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