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1

최초의 휴대폰은 누가만든건가요

지금처럼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던시대말고 시티폰시절이있었잖아요 한국이스타트인가요 아니면 해외에서 들여온건가요 어디가먼저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외로운고래123
    외로운고래12323.02.01

    안녕하세요. 아하 지식인입니다.

    세계 최초의 휴대 전화는 1973년 모토로라에서 근무를 하던 마틴 쿠퍼 박사와 그의 연구팀이 개발하였으며, 당시 무게는 약 850.5그램이었다. 원천 기술은 벨 연구소의 조엘 엥겔이 가지고 있었으며 벨 연구소는 1946년 개발한 셀룰러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경찰에 제공하였다. 현재의 카폰과 비슷하다.

    1973년에 마틴 쿠퍼 박사가 개발한 기술은 이를 셀룰러 방식의 텔레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차 밖으로 끌어낸 것이며 10여 년 동안의 각고의 노력 끝에 모토로라는 1983년 최초의 상용 휴대 전화 다이나택(DynaTAC)을 발매하기에 이른다.

    최초로 셀룰러 텔레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설치된 것은 1979년 일본 도쿄였으며 미국에서는 1981년에 처음으로 워싱턴 D.C.와 볼티모어 사이에서의 테스트가 이루어졌다.

    1982년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가 마침내 상용 셀룰러 커뮤니케이션 서비스를 인증하였으며, 한 해가 지난 1983년에는 Ameritech사가 시카고에서 미국 최초의 아날로그 셀룰러 서비스(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를 개통했다.

    대한민국은 1984년, 한국이동통신(현 SK텔레콤)이 휴대 전화 서비스를 개시했다. 이 후 삐삐와 시티폰의 과도기를 거쳐 1990년대 후반부터 개인 이동전화가 본격적으로 보급되며 휴대전화 시대가 열렸다. 대한민국 휴대전화 시장은 삼성전자의 애니콜과 LG전자, SKY(팬택 엔 큐리텔), 모토로라, 노키아, 블랙베리 등이 각축을 벌였다. 1999년 폴더 모양의 휴대전화를 삼성전자에서 처음 출시하였고 동시에 1999년 5월 첫 카메라폰이 출시되었다. 국내에서는 2000년 삼성전자가 출시한 SCH-V200이 최초의 카메라폰이었다. 2001년에는 세계 최초의 VOD폰이 출시되기도 하였다.

    2000년대 초반은 휴대전화 업계에 여러 발전이 일어났던 시기였다. 2001년 노키아가 첫 컬러 액정 휴대전화를 출시한 것을 시작으로 한국에서는 2002년 첫 TFT-LCD 컬러 휴대전화 SCH-X430이 출시되는 등 흑백에서 컬러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국내/외 휴대전화 업계는 2003년을 끝으로 흑백폰 시판을 완전 중단하면서 2000년대 중반부터는 컬러 액정만 시장에서 살아남게 되었다. 또한 2002년 3세대 이동통신(3G) 시험 서비스가 시작되어 2003년 상용화가 되며 3G로의 세대교체도 이루어졌다. 또한 2002년까지 출시된 휴대전화는 전부 안테나가 외장형으로 되어있어 통화 시 안테나를 빼서 사용해야 했으나, 2003년 2월 첫 안테나 내장형SPH-X8300(벤츠폰)이 처음 출시되어 2005년부터는 모든 휴대전화가 안테나 내장형으로 출시되게 되었다.

    출처 :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