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냉정한족제비190
냉정한족제비190

가을 하늘이 높다고 하는데 이게 무슨뜻인가요?

가을 하늘이 높다고 하잖아요.

이게 하늘이란게 어디까지가 하늘인건지? 성층권까지?


어디던 하늘이 높다는건 하늘의 끝이 더 깊어졌다는것 같은데 이게 왜 고정이 아니고 변하죠? 그럴리 없을듯한데요.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하늘의 높이라면 보이는 구름까지의 높이를 말하는것 같은데 이건가요? 이래저래 다 이상한데


가을 하늘이 높단 말 이게 근거 있는 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하늘이 파란색인것은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태양빛은 지구로 오면서 질소와 산소등의 대기에의해 굴절됩니다. 가시광선 중에 파란색 계열의 광선은 파장이 짧아 지표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대기권에서 모두 산란 됩니다. 하여 지상에서 하늘을 보면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여름에는 대기가 덥고 수분이많아 습합니다. 이 수분에의해 지상으로 내려오는 빛이 굴절이 많이 되어 탁하게 보입니다. 하지만 가을에는 차고 건조한 대륙성 고기압의 영향으로 대기에 수분이 없어 빛의 굴절이 적게 나타나 대기에서 산란되는 파란색 계열의 빛이 선명하게 보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높고 더 파랗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은 연한 파란색보다 진한 파란색을 더 깊거나 높게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의 가을철이 되면 이동성고기압에 의해 하늘에 있는 먼지가 많이 제거가 되는데요,
      이로 인해 산란되는 빛이 더 잘 산란이 되어 하늘색이 짙은 하늘색을 띠도록 만듭니다.

      따라서, 가을 하늘이 더 높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과학적으로도 근거 있는 이야기입니다.

      먼저 하늘이 파란 이유를 이해하시면 가을 하늘이 왜 높게 보이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실 듯 합니다.

      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이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산란이란 쉽게 생각해 빛의 경로가 바뀐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하늘에서 파란색의 파장 영역대의 빛이 공기와 산란하여 여기저기 튀다 우리 눈으로 들어온 것이죠. 반면에 다른 빛은 모두 공기를 투과하여 지면에 닿기 때문에 하늘의 색에는 기여하지 않습니다.

      가을에는 다른 계절에 비해 대기가 깨끗한 상태입니다. 왜냐하면 차고 건조한 기단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대기 중에 수증기량도 적고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맑은 기후이죠. 또한 미세먼지도 적은 시기입니다. 그래서 높은 곳에서부터 대기와 충돌해 빛의 산란이 일어나는데 이 때문에 가을 하늘이 높이 보이는 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하늘이 높낮이는 햇빛의 산란에 의해 결정됩니다.

      가을엔 대기 중의 먼지가 봄, 여름, 겨울보다 상대적으로 적습니다.

      따라서 훨씬 높은 고도에서 빛이 산란이 되기 때문에, 하늘을 보면 더 높게 보이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