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도 원자로 되어있나요????
모든 물질은 분자로 되어있는걸로 알고있는데요?
그럼 공기는 무엇을 기초로 할까요??
원자는 핵 전자 중성자 로 되어있나요
분자와 원자의 크기 얼마나되죠
설명 부탁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지구의 대기 또한 여러 기체의 분자들이 섞여있는 상태로 존재하며, 질소기체 78퍼센트, 산소기체 21퍼센트, 기타 비활성기체 1퍼센트미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공기는 단일 분자가 아닌 여러 기체 분자들의 혼합물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는
78프로의 질소(N2)와
21프로의 산소(O2)
1프로(이산화탄소 CO2 등등)으로 이루어져있어요
당연히 지구상의 대기는 원자와 분자로 이루어져있답니다^^
아 크기는 ...매우작아요...크기보단 질량으로 표기를 합니다
아보가드로의 수만큼을 모은걸 1mol이라하고 그때의 무게를 측정해서 보통 g/mol 이라는 단위를 써요
질소는 14×2 =28g/mol
산소는 32g/mol
기타 1%(이산화탄소 등)는 생략할께요
그럼 질소 28g/mol이 78% + 32g/mol이 21%
계산하면 대기중의 공기는 28×0.78 + 32×0.21= 약 28.6g/mol이 되겠네요
답변이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균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모든 물질은 원자가 모여서 만들어 집니다.
원자는 원자핵, 전자로 이루어져 있고 원자핵은 양성자와 중성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
분자는 원자가 모여서 만들어 집니다.
예를 들어 산소 원자 두개가 모여서 산소 분자가 됩니다.
공기는 질소분자78%, 산소분자 21%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밖에 1%는 아르곤, 이산화탄소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원자의 크기를 나타낼 때는 흔히 Å(옴스트롱)이라는 단위를 사용하는데 이는 10의 -10승 미터
즉, 0.0000000001m에 해당하는 단위입니다.
안녕하세요. 오현수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는 다양한 분자와 원자 사이의 균일한 혼합물로 보는 것이 더 명확한 표현일것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질소(N2)가 78% 산소 (O2) 아르곤 0.
9% 0.03%의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져있지요.
분자와 원자의 크기를 말하기 이전에
각각의 개념에 대한 설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분자는 여러 원자들이 분자내결합이라는 것을 통해 서로 붙어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원자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원자핵과 전자가 분포하는 확률적 공간(오비탈)로 표시하는데 원자의 종류마다 다릅니다. 따라서 원자의 크기는 각각 다른것이고 획일적인 것이 아닙니다.
또한 원자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분자의 크기 또한 분자의 종류가 다르가면 서로의 크기는각각 다를 것입니다.
답변을 통해 이해가 잘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공기는 여러 기체들이 있습니다.
대부분 산소, 질소, 그리고 소량의 이산화탄소, 아르곤 등의 기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각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등등은 O2, N2 CO2 등으로 원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는 일종의 혼합 기체 입니다. 대부분 질소로 이루어져 있고 산소, 이산화탄소, 아르곤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분자와 원자의 크기는 각 기체마다 다릅니다
감사합니다
공기는 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원자로는 이루어져 있지 않습니다. 분자는 서로 결합하여 이루어진 물질입니다. 원자는 핵, 전자,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분자보다 훨씬 작습니다. 분자의 크기는 분자의 종류와 조건에 따라 다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