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수려한백로159
수려한백로159

바이러스도 유기물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나요?

미생물 중에 박테리아가 각종 사체나, 음식물 등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아는데, 바이러스의 경우에도 비슷한 역할을 하나요? 그래서 바이러스도 어떤 쾌쾌하고 불쾌한 냄새를 나게하는 부패 과정에 관여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바이러스는 살아서 기능을 하는 세포에 침투하여 해당 세포를 이용해 자신을 복제하기 때문에

    바이러스는 죽은 세포에서는 생물학적 활동이 불가능 합니다.

    그래서 동물 사체나 음식물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지는 못합니다.

    바이러스를 생명체로 보는가는 여러 논쟁이 있지만,

    어찌되었든 생명체와 많이 상호작용 하고 있기 때문에 생태계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 중 박테리오파지의 종류들은 세균에 특이적으로 감염하여 세균을 죽이는 바이러스입니다.

    바이러스 중 박테리아를 감염시키는 종류가 많기 때문에 세균의 수를 조절하고 세균이 가지고 있는 유기물의 순환을 가속화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 바이러스는 감염 과정에서 자신의 유전물질을 숙주의 유전자에 끼워넣기도 합니다.

    이 과정에서 숙주에는 원래 없던 유전자가 생기게 되는데 이것이 돌연변이를 더 빠르게 유발하고

    진화과정을 가속화 시켰다는 이론이 있습니다.

  • 심해 바다의 생태계에서는 바이러스 역시 중요한 분해자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탈리아 해양생물학자 연구진이 심해 퇴적물 시료들을 분석해본 결과, 단세포 미생물을 터뜨려 죽이는 바이러스(세포 용해 바이러스)가 많이 살고 있으며 이 바이러스가 미생물을 분해해 몸속의 탄소 유기물을 심해에 흩뿌려 먹이를 제공하는 구실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다른 미생물들이 이 유기물을 먹고 번식하며 다시 바이러스의 숙주가 되며, 연구팀은 바이러스들이 해마다 이런 방식으로 심해에 방출하는 탄소 유기물이 6억3천만t 정도나 될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이는 유기물 먹이가 거의 없어 생물체가 살기 힘들 것으로 여겼던 심해 바닥에도 독자적 생태계의 먹이 순환이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 바이러스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생명체의 세포 내에서만 활동할 수 있는 감염성 입자로, 살아있는 호스트의 세포 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의 유전물질을 복제하고 증식합니다. 이 과정에서 바이러스는 에너지를 생산하거나 유기물을 분해할 능력이 없으므로, 전통적인 의미에서의 생물학적 분해 활동에 참여하지 않습니다. 특히, 부패 과정에서 나타나는 불쾌한 냄새는 주로 박테리아나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며 방출하는 가스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미생물은 유기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추출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바이러스는 이런 과정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대신, 바이러스는 박테리아를 감염시키는 박테리오파지 형태로써 간접적으로 생태계 내 박테리아 수를 조절하며 균형을 유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유기물의 분해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와 달리 스스로 물질대사를 하지 못하고 살아있는 숙주 세포 내에서만 증식할 수 있기 때문에, 박테리아처럼 직접적으로 유기물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지는 않습니다.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에 감염되어 세포의 기능을 조종하고 파괴할 뿐, 세포 밖의 유기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음식물이나 사체의 부패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쾌한 냄새는 주로 박테리아의 작용에 의한 것이며, 바이러스는 이 과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습니다. 다만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를 파괴하면 세포 내 물질들이 밖으로 방출되어 2차적으로 박테리아의 성장을 촉진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바이러스의 간접적인 영향일 뿐, 유기물 분해와 부패 과정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