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금리가 한국은행이 정한 기준금리 보다 낮아지고 있다네요.
한국은행으로 부터 기준금리가 정해지면 시장금리도 기준금리에 준해서 정해지는게 맞을것 같은데 제목에서 처럼 시장금리가 기준금리보다 더 낮아진다는게 이해하기 어렵네요.
쉽게 설명답변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장금리는 은행의 자율에 의해서 금리가 결정되게 됩니다. 그리고 기준금리라는 것은 중앙은행과 금융기관간에 거래되는 RP금리를 말하는데, 이 기준금리는 시장에게 주는 '가이던스'금리로 적용이 되는 것으로서, 기준금리가 상승한다고 해서 꼭 시중은행의 금리가 상승하는 것은 아닙니다.
시장의 금리 결정은 보통 '향후'에 어떻게 금리가 변화할 것인지를 보고 미리 움직이는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과거의 경우에는 기준금리가 결정된 후에 시장의 금리가 반응을 하였으나, 최근에는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간다는 것을 감안하기에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인상되기전 미국의 기준금리의 흐름을 보고 시중은행들이 금리를 인상하거나 혹은 인하를 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에는 미국 또한 기준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시중은행들의 예금과 대출금리가 내려간데에는 크게 2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어느정도 정점을 찍고 내려가고 있다는 분위기가 확산되었고 이로 인해서 미 연준의 금리 정점 수준이 예상보다 낮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입니다.
두 번째는 12월 초부터 지속되고 있는 정부 당국의 '예금 누르기' 정책으로 인한 것인데, 정부는 현재 부동산 시장이 금리인상으로 인해서 급격하게 부실화될 우려가 커지다 보니 예금금리를 눌러서 PF대출의 금리를 낮추고 시공사나 증권사들이 채권발행시 '예금금리'에 실망한 자금 수요를 '채권'으로 돌리려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그래서 작년 12월부터 1월까지 증권사들은 지난 11월까지와 다르게 안정적으로 보다 저렴한 금리로 ABCP등과 같은 PF대출과 관련된 어음이나 채권 발행을 성공하였습니다.
간단하게 정리하면, 시중의 금리는 '자율'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최근의 금리결정은 '정부의 금리 누르기 압박'으로 인해서 시장과 반대되는 흐름을 보였다고 보시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장 금리는 미래를 예상해 기대금리가 반영되기때문입니다. 시장은 향후 금리가 인하할거로 기대하는거죠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시장금리라기보다 국채금리를 말씀하시는 것 같네요.
국채금리가 기준금리를 역전하면 경기침체에 돌입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만큼 어려우니 금리를 높여 국채를 보전하기 위해서죠.
한국은 특히나 자원이 없고 수출로 먹고 사는 나라라서 현재 전세계 무역 거래가 감소한만큼
타격이 더 클 것입니다. 거기에 금리를 올렸음에도 에너지물가를 폭등하여 오히려 올랐기에
좀 더 장기간으로 가지 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