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발생 이후 현재까지 주요 경제이슈에 대해 알려주세요?
IMF 발생 이후 부터요.국내.국외 주요 경제 이슈에 대해 구분해서 알려주세요. 유가 급등이나 오일쇼크때문에 국내,외의 경제에 입핀 파급효과등 큰 경제이슈에 대해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imf이후로 주요 경제이슈로는 주식시장을 기준으로 했을때는 2000년 닷컴버블,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코로나 팬데믹 등이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IMF 외환위기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국내외 주요 경제 이슈는 다음과 같습니다. 1997-1998년 IMF 외환위기는 기업 구조조정, 대량 실업, 경제 성장률 급락을 초래했습니다. 2003-2004년에는 신용카드 대란으로 인해 가계부채가 급증하고 소비가 위축되었습니다. 2008년에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해 수출이 감소하고 원화 가치가 하락하여 경기 침체가 발생했습니다. 2011년에는 가계부채 문제가 심화되어 부동산 시장이 침체하고 소비가 다시 위축되었습니다. 2016-2017년에는 조선업 구조조정으로 인해 대규모 실업이 발생하고 지역 경제가 크게 타격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2020년부터 현재에 이르는 COVID-19 팬데믹 대응 과정에서 경기 침체와 고용 불안, 재정 확대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국외에서는 2000년 닷컴 버블 붕괴로 인해 기술주가 폭락하고 글로벌 경기가 침체했습니다. 2001년 9/11 테러 이후에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을 시작으로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가 발생했습니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는 유럽 재정위기로 그리스를 포함한 남유럽 국가들이 채무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국제 유가 급락은 원유 공급 과잉으로 인해 에너지 기업들에 큰 타격을 주었습니다. 2018년부터 2019년 미중 무역 갈등은 글로벌 무역 위축과 공급망 재편을 초래했습니다. 마지막으로 2020년부터 현재까지의 COVID-19 팬데믹은 글로벌 경기 침체와 공급망 붕괴, 인플레이션 압력 등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2022년 현재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고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제 이슈들은 상호 연관되어 있으며, 특히 유가 급등이나 글로벌 경제 위기와 같은 사건들은 한국 경제에도 큰 파급효과를 미쳤습니다. 한국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나라로서 글로벌 경제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IMF 이후에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 전세계적인 금융위기도 있었고
더불어서 2010년대 남유럽 국가들의 재정적 위기
그리고 2018년 미중 무역분쟁 등이 있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외 - 2000년 닷컴 버블 붕괴, 2001년
9/11 테러 후 경제 타격, 2008년 서브프라임모기지
글로벌 금융 위기
국내 - 2001년 IMF 위기 극복, 2002년부터 현재까지 고령화 및 출산율 하락 심화
등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1997~1998년에 걸쳐 발생한 한국 등에서 발생한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경제 위기는 2008년에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입니다. 이는 미국 등 선진국 중심으로 발생한 금융위기로 세계 경제를 수년간 얼어 붙게 만들었습니다.
그 후 2017년 부임한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중심 주의에서 발동한 미중 무역전쟁입니다. 이는 현재도 진행 중에 있고 세계화의 종식을 고했습니다.
대략 1997년 아시아 IMF 외환 위기 이후로는 2000년 닷컴버리셨고 그다음에는 2008년 금융위기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2020년 코로나 위기 이 정도가 경제적으로 큰 위기 사태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IMF 발생 이후 현재까지 주요 경제 이슈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시아 여러 나라들의 외환위기 였던 IMF 이후
2001년 닷컴 버블이 꺼지게 되었고
다시 2008년 미국의 부동산 버블이 붕괴되면서 금융 위기가 있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IMF 발생 이후 국내 주요 경제 이슈로는 1997년 IMF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그리고 최근의 코로나19 팬데믹이 있습니다. 1997년 외환위기는 한국 경제에 큰 타격을 주어 많은 기업들이 파산하고 실업률이 급증했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는 수출 감소와 경제 성장 둔화를 가져왔으며, 코로나19 팬데믹은 경제 전반에 큰 충격을 주어 정부가 다양한 재정 정책으로 대응했습니다.
국외 주요 경제 이슈로는 1970년대 오일 쇼크, 2000년대 초반 닷컴 버블 붕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그리고 최근의 미중 무역전쟁과 코로나19 팬데믹이 있습니다. 오일 쇼크는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과 경제 불황을 초래했고, 금융위기와 팬데믹은 국제 경제에 큰 파장을 일으켰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