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가격이 자꾸 오르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개인적으로 김 가격이 계속 오르는 것 같은데,
김 가격이 계속 오르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매번 김을 구매할 때마다 가격이 올라가는 것 같아서 궁금하네요.
김 가격이 오르는 가장 큰 이유는 김이 해외에서도 인기를 얻으면서 수요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보통 물건은 수요가 상승하면 물건 가격이 상승하기 마련인데 김도 같은 원리로 가격이 상승하는 것이죠
김 가격이 계속 오르는 건 원자재 값이 올라서예요.
수요가 늘어나서 공급이 부족하기도 하고
자연재해나 기후 변화로 생산이 어려워졌기 때문이죠.
또 수입 비용이 늘어나면서 가격이 오를 수도 있어요.
결국 여러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가격이 계속 오르는 것 같아요.
김 가격이 계속 오르는 주요 이유
최근 김 가격이 꾸준히 오르고 있는 현상은 여러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습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후 변화와 생산량 감소
김의 원재료인 원초(물김) 생산량이 기후 변화로 크게 줄었습니다. 해수 온도 상승, 이상기후, 병충해 확산 등으로 인해 김의 생육 환경이 악화되었고, 실제로 전국 김 생산의 77%를 차지하는 전남 지역의 생산량이 11% 감소한 바 있습니다.
겨울철 수온이 높아지면 김의 생육이 더뎌지고, 수확 시기도 짧아져 전체 생산량이 줄어듭니다. 이는 가격 상승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 중 하나입니다.
2. K-푸드 인기에 따른 수출 증가
해외에서 한국 김과 김밥 등 K-푸드 인기가 급상승하면서 김의 수출량이 크게 늘었습니다. 2024년 기준 김 수출량은 전년 대비 9.4% 증가했고, 2019년과 비교하면 4.2배에 달할 정도로 급증했습니다.
수출이 늘면서 국내에 공급되는 김의 양이 줄어들었고, 이는 국내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3. 재고 부족과 공급 불안
수출 증가와 생산량 감소가 겹치면서 국내 김 재고가 부족해졌습니다. 김은 건조와 가공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공급을 늘리기 어렵고, 이로 인해 가격이 더욱 빠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4. 생산 비용 및 유통 구조 문제
인건비, 양식장 유지비 등 생산 비용이 꾸준히 오르고 있습니다. 또한 유통 과정이 복잡해지면서 유통 마진이 늘어나 소비자 가격 부담이 커졌습니다.
유통 구조상 생산자→산지위판장→가공업체→도매시장→소매업체로 이어지며, 각 단계마다 비용이 추가됩니다.
5. 주변국(특히 일본) 생산 부진 및 해외 수요 증가
일본 등 주변국의 김 생산이 기후 변화로 크게 줄면서, 일본의 김 수입 수요가 급증했습니다. 일본으로의 수출이 늘어나면서 국내 공급이 더욱 부족해졌습니다.
6. 고급 김 및 프리미엄 제품 수요 증가
소비자들이 일반 김보다 품질이 좋은 프리미엄 김을 더 많이 찾게 되면서, 고급 김의 생산 비중이 늘고 있습니다. 고급 김은 생산 비용이 더 많이 들기 때문에 전체적인 김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가격 동향 및 전망
최근 1~2년 사이 김 가격은 1년 전 대비 1.5배 이상 올랐으며, 2025년 들어서도 높은 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부는 생산 확대, 신규 양식장 허가, 할인 지원 등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수출 증가와 기후 변화 등 구조적인 요인 때문에 당분간 가격이 크게 내리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됩니다.
요약
김 가격이 계속 오르는 이유는 기후 변화에 따른 생산량 감소, 해외 수출 급증, 국내 재고 부족, 생산비 및 유통비 상승, 그리고 주변국 생산 부진 등 복합적인 요인이 겹쳤기 때문입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구조적인 요인이 해소되지 않는 한 김 가격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김 가격이 오르는 주된 이유는 일본과 중국의 김 생산량 감소로 인한 수출 증가와 기후 변화의 영향 때문인데요. 일본은 수온 상승, 황백화 현상, 폭풍우 등으로 인해 김 생산이 급감했고 한국산 김의 해외 수요가 증가하면서 수출량이 크게 늘었고, 이로 인해 국내 유통 물량이 부족해져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우리나라의 김은 아주 품질이 좋고 맛도 좋아서 큰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합니다.
요즘 k음식의 열풍으로 해외에서도 많은 김을 수입해가면서 국내에서 필요한 김의 수가 감소하다보니 가격이 높게 형성되고 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