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일본중앙은행 금리가 만약 0%에서 1%나 그 이상으로 올린다면 그 영향

일본 중앙 은행이 현재 0%대에서 쭉 유지되고 있는데 만약 일본이 금리를 0에서

1%대로 인상한다면 일본의 영향과 미국 ,한국의 영향이 어찌 되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본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하면 엔화 가치가 상승하고, 이는 일본 수입 물가 안정과 기업들의 해외 자산 가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물가 상승을 억제하고 금융 시장 안정에도 도움이 될 수 있죠. 하지만, 경기 침체와 정부 부채 부담 증가, 부동산 시장 침체 등 부정적인 영향도 예상됩니다.

    미국은 엔화 강세로 인해 달러 약세를 겪을 수 있지만, 수출 경쟁력은 높아질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금리 인상 압력이 완화될 수 있지만, 자본 유출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한국은 엔화 강세로 인해 원화 약세가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수출 기업에는 긍정적이지만 수입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본 수출 기업과의 경쟁 심화와 자본 유출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일본의 금리 인상은 일본뿐만 아니라 미국, 한국 등 주변국 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엔화 가치, 자본 흐름, 수출 경쟁력 등 다양한 측면에서 변화가 예상되므로, 일본의 금리 정책 변화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적절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일본의 엔캐리트레이드 자금이 글로벌 증시에서 대부분 철수되면서 글로벌 증시의

      다시 한 번 폭락을 이끌 수 있습니다

    • 또한 우리나라 증시와 국채도 위험해지는 상황이 연출 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일본의 금리 결정은 신중해야 하며 만약에 1%를 넘어갈 경우

      경기침체가 올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만약 일본이 금리를 현재의 0%대에서 1%대로 인상한다면 먼저, 금리 인상으로 엔화의 가치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고, 이는 일본 수출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일본 투자자들이 미국 국채를 매도하고 자금을 일본으로 돌릴 가능성이 커지며, 이로 인해 미국 국채 수요가 줄어들어 미국 금리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일본과 경제적 연관성 때문에 수출입 시장에 일부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고 글로벌 금융 시장의 변동성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일단 최근 발생한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 이슈처럼 또다시 세계 증시 등에 투자되어 있는 일본자산이 매각되어 증시가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추가적으로 엔화가 올라서 우리나라에서 일본으로 수출하는 기업에겐 호재이지만, 반대로 일본에서 우리나라로 수입하는 기업에겐 상황이 안좋아질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최근에 일본 기준금리 관련해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쪽이 투자자산 시장입니다

    최근에도 일본이 기준금리를 조금 올렸는데 거기에도 전 세계 주식시장이 폭락을 했습니다. 엔 캐리 트레이드 자금이라는게 있는데 이것이 청산되면 전세계적으로 투자되어 있던 자금이 정산되어 일본어로 되돌아가야 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1. 일본 경제: 금리 인상은 대출 비용을 증가시켜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아지면 금리 인상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환율: 일본 금리가 상승하면 엔화가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일본의 수출 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미국: 일본의 금리 인상은 미국의 금리 정책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일본 자산에서 미국 자산으로 자금이 유출될 수 있으며, 이는 미국의 금리 인상 압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4. 한국: 한국은 일본과의 경제적 연관성이 크기 때문에, 일본의 금리 인상은 한국의 환율과 자본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국은행도 금리 정책을 조정할 필요성이 생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일본 중앙은행은 올해초 0%에서 0.1%로 한번 인상을 하였으며 7월말에 0.25% 깜짝 금리인상을 하였습니다.

    즉 이런 시장에 충격을 주는 깜짝 금리인상으로 엔화가치의 크게 상승하면서 최근 2~3년간 급격하게 엔화를 저금리로 빌린 미국의 대형 헷지펀드사와 패밀리오피스 중심으로 엔화가치의 급등이 큰 손실로 이어지면서 ( 그 이유는 레버리지형태로 엔화를 차입하여 이 엔화를 미국 테크주식이나 미국채에 투자하는 형태로 빌렸습니다. ) 자신들이 투자한 미국주식이나 미국채권이나 각종 신흥국 통화 또는 일본주식에도 투자한 자금들이 있어서 이쪽으로 대규모 청산이 발생했던것입니다.

    이로 인하여 저번주 미국과 한국 대만 일본의 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주게 되었으며 엔화가치의 급등 달러가치의 하락 그리고 미국 10년물 국채 시장금리는 하락하고 일본의 시장금리는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즉 향후에도 만약 일본의 중앙은행이 공격적인 움직이나 매파적인 발언으로 금리인상을 연속으로 상향하거나 하면 엔화가치는 더욱 상승할것이고 이러한 엔캐리트레이드의 청산이 지금보다 더 규모가 커져서 금융시장의 또다른 트리거가 발생하면서 패닉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