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용어가 생소한게
요즘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용어가 생소한 단어가 많은데
가르기 모으기 대충뜻은알겠는데 산수에서 수학으로 바뀌면어 많이 변한것 같은데 아이들은 잘 적응하나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예전에 사칙 연산 위주의 계산 능력을 강조했지만, 요즘에는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강조하게 위해서
산수에서 수학으로 바꼈다고 합니다.
그래서 문제의 길이가 늘어나고, 문제 안에 단어들을 이해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그래서 어휘력 확장을 위해 책도 많이 읽고 국어 공부도 많이 해줘야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요즘 초등학교 저학년 수학에서는 용어가 많이 바뀌어 아이들이 적응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가르기와 모으기 같은 기본 개념은 여전히 중요하지만 수학적 사고를 기르기 위해 새로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죠. 교사와 부모의 지원이 필요하며 꾸준한 연습을 통해 아이들이 점차 익숙해질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가르기와 모으기는 수의 분해와 결합을 의미하는 용어로 아이들이 기본 연산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산수에서 수학으로 변화하며 개념 위주의 교육이 강화되었지만 아이들은 체계적인 학습을 통해 잘 적응하는 편입니다
안녕하세요.
가르기와 모으기는 수학에서의 10 단위를 받아올리고 내리기 위해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이를 외우려는 목적은 아니고 덧셈과 뺄셈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용도이므로 아이들이 10 단위롤 만들고 가르는 테에 익숙함을 주기 위한 목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곧잘 따릅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네아이들은 잘 적응합니다 아이들은 처음듣는 새로운 용어이므로 천천히 배워가며 익힙니다 그래서 예전 용어와 헷갈리는 어른들 세대만 헷갈립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은 애초에 처음으로 접하는 수학적 개념들이기 때문에 생소할지라도 결국 금방 적응해나간답니다. 어른들은 예전에 배웠던게 있기에 개념간 중첩되는 부분에서 혼란이 오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수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저희입장에서 바뀐게 있을 수 있을지 모르나 아이들 입장에서는 바뀐게 아니라 그대로 배우는거니 변화에 적응하는 것은 아닙니다. 저학년은 대부분의 아이들이 어려워 하지않도록 단어선택과 구성을 하므로 크게 문제되지는 않는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