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전송 수수료 관해서 심화질문 합니다.
거래소나 지갑으로 암호화폐 전송하는데 있어서..
수수료가 든다는 개념은 알겠는데
오늘 카카x톡 에서 클x 지갑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거기는 수수료가 들지 않더라구요?
이상하네요..분명 든다고 들었는데..
클x 에선 이러한 출금 서비스를 제공해주는데 왜 수수료가 왜 안드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클립 지갑에서 클레이나 클레이튼 토큰들을 전송할 때 수수료가 발생하는 것은 맞지만
아직까지 초창기이기 때문에 사용자 확대와 지갑의 사용 활성화가 될 때까지는
마케팅 차원에서 수수료를 지원해주는 것입니다.
카카오톡도 무료앱으로 시작해서 사용자를 확보한 후에 각종 유료 서비스를 런칭하였고
현재는 카카오톡 앱안에도 유료광고를 넣어서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으로 보았을 때 추후에 클립 지갑도 유료 광고나 다른 서비스로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암호화폐 전송 수수료 관해서 심화질문 합니다. 라고 문의 하셨는데요.
클레이튼의 경우 메인넷 출시 1주년을 기념하여 클레이튼 수수료를 1년간 클레이튼 플랫폼을 만든 그라운드X에서 클레이튼 기반의 모든 트랜잭션 수수료를 전액 대납한다고 7월에 발표를 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기사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카카X톡에서 지갑을 사용해보지는 못했습니다. ^^;;
블록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보통은 수수료가 필요 합니다.
보통은 보내는 사람이 수수료를 지불 하게 되어 있지만 이오스 같은 블록체인의 경우 사용자가 아닌 서비스를 제공하는 쪽에서 수수료를 지불 하도록 할 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하이퍼렛져같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경우 수수료를 없애고 만들 수도 있습니다.
만드는건 다양하게 만들 수가 있습니다.
거래소의 경우 수수료가 주 수입원이기 때문에 수수료 +@로 지불 해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답변 드립니다.
출금 수수료는 코인마다 거래소마다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해당 플랫폼에서 코인의 출금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것을 일반화해서는 안 됩니다.
다만, 코인의 출금에는 수수료가 발생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코인의 전송 하나 하나가 서버에서 리소스를 사용하므로 비용이 발생될 수밖에 없거든요.
출금 수수료가 없었던 것은 일종의 '서비스'라고 생각하시는 게 편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Danny입니다.
대부분의 암호화폐는 수수료가 발생하지만,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는 암호화폐도 많이 있습니다.
이유는,
해당 암호화폐의 프로젝트를 설계할 시점에서, 수수료를 0로 하더라도 운영에 문제가 없게끔 만들었기 때문이죠.
즉, 암호화폐 송금 시 수수료가 물리적으로 발생하지만,
그 비용을 다른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이윤으로 충당하게끔 설계를 한거죠.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지식답변자 다라닝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알고계신것처럼 대다수의 암호화폐가 수수료를 받고 코인을 이체합니다.
일반적으로는 트랜잭션 비용으로 인한 발생이죠.
다만 메인넷을 거친 일부 코인들은 자체적으로 그 비용을 처리해줌으로써 수수료를 절감 시커줍니다.
이로써 코인마다 발생되는 수수료의 차이가 생깁니다.
말씀해주신 클립도 같은 맥락으로 보실수 있습니다!
부족하지만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추가적인 문의가 필요하시면 답변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