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28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코비드19이 무서운 점은 젊고 건강한 성인들도 감염시 중증으로 발전하고 심하면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것입니다. 고령의 환자나 기저질환을 가진 분들은 그 위험도가 훨씬 높습니다.
기저질환자들은 나이를 막론하고 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중증이란
1. 입원
2. 집중치료
3. 인공호흡기 필요
4. 사망 가능성
을 지칭합니다.
기저질환으로는
1. 암
2. 만성 신장병
3. 만성 호흡기 질환
4. 치매
5. 당뇨병
6. 다운증후군
7. 심장관련 질환 (심부전, 심혈관 질환, 고혈압 등)
8. HIV 감염자
9. 면역저하상태
10. 간질환
11. 비만
12. 임신
13. 흡연자 (과거 포함)
14. 장기이식자
15. 뇌혈관 질환
16. 약물 남용(음주 및 마약류)
등을 지칭합니다.
그러므로 질문자님께는 백신 접종이 더욱 권고되며 그 위험도 보다는 접종으로 얻는 이득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김종훈 의사 / 약사입니다.
심근경색과 같은 기저질환이 있으시면 백신접종을 권장드립니다.
백신접종은 코로나에 걸리더라도 중증으로의 진행을 막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난 2월 정부가 발표한 확진자서 예방접종력에 따라 중증 진행을 평가한 결과를 보면
1. ‘3차 접종 후 확진군’은 ‘미 접종 후 확진군’에 비해 중증(사망 포함)으로 진행할 위험이 97.3% 낮았습니다.
2.‘2차 접종 후 확진군’도 ‘미 접종 후 확진군’에 비해 중증화 위험이 72.3% 낮았습니다.
3.‘미 접종 후 확진군’의 중증화율은 ‘3차 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35배, ‘2차 접종 완료 후 확진군’에 비해 4배가 높습니다.
통계에서 보듯이 미접종자는 중증으로 이어질 확률이 크기 때문에, 나이가많고 기저질환이 있으신분들은 가능하시면 접종을 권하고 있습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우리나라 코로나19 예방접종 대상자는 기저질환자를 포함한 전국민입니다. 왠만한 기저질환은 백신접종 금기대상이 아니며, 현재 급성기 치료를 받아야하는 상황에서 치료를 하고 있는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코로나19 예방백신 접종을 받아야합니다. 코로나19 예방백신을 접종한다고 해서 기저질환을 악화시키지 않으며, 기저질환자들의 경우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중증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고 사망율도 높아지게 되므로 접종받는 것이 좋습니다.
기존에 기저질환 치료를 위해 복용하던 약물은 평소와 같이 복용하시면 됩니다. 많이 걱정되신다면 담당 의사선생님과 상담해보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특정 기저질환이 있는 사람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시 중증질환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고 치료 후에도 후유증이 남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기저질환이 있는 대부분의 사람은 코로나19 예방백신을 접종받는 것이 좋습니다.
기저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는 약제를 복용하는 것 자체는 예방접종과 관련해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또한 코로나19 예방백신을 접종한다고 해서 기저질환이 악화되는 것도 아닙니다. 백신접종 후 부작용이 드물게 발생할 수 있지만 조기발견 및 적절한 치료로 완치될 수 있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홍덕진 의사입니다.
고령과 기저 질환 보유자는 코로나 감염시 중증 이환율이 높기 때문에, 더더욱 백신 접종이 권장됩니다.
기저 질환이라 함은, 암, 당뇨, 고혈압, 뇌졸중, 심장 질환, 신장 질환, 간 질환, 자가면역 질환 등의 전신 질환을 의미합니다.
백신은 코로나 감염 시 중증으로 발전할 위험성도 줄였습니다.
또한, 바이러스 수치 감소 속도 역시 접종자에서 보다 빨랐습니다.
항스파이크 단백질 항체 증가 등 혈청학적 반응률도 접종자에서 상대적으로 강력했습니다.
예방 접종은 코로나19 팬데믹을 대응할 핵심 전략으로 평가받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