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스포츠·운동

야구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

야구에서 규정타석과 규정이닝의 기준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타자들의 타율은 규정타석이 기준이며

투수들의 방어율 순위는 규정 투구이닝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규정타석과 규정 투구이닝의 조건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충분히미소짓는삼계탕

    팀 경기 수에 3.1을 곱한 규정타석은 그 선수가 부상 없이 어느 정도 실력을 가지고 팀에서 역할을 해주는 선수라는 의미가 되며 타율, 출루율 등을 순위 매길 때 하나의 기준이 됩니다.

    규정이닝은 팀 경기 수와 같은 이닝을 채우면 됩니다. 즉, 한 해가 끝났을 때 144이닝 이상을 투구하면 규정이닝을 채운 선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야구에서 규정타석은 타자의 타격에 참여한 타수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는 3.1 타석을 사용합니다. 즉, 경기당 평균 3.1번 이상의 타석을 치는 선수가 규정타석을 갖게 됩니다. 규정 투구이닝은 투수가 한 경기에서 던진 투구 수가 기준 이상인 경우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는 1 이닝당 3 이닝을 기준으로 하며, 3 이닝 이상을 던진 투수가 규정 투구이닝을 갖게 됩니다.

  • 프로야구 리그에서 규정타석은 팀경기수 곱하기 3.1을 합니다.

    투수의 규정이닝은 팀경기수 곱하기 1을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144경기를 하기에 시즌을 마친후에 규정타석은 446타석입니다.

    규정이닝은 144이닝이 되구요.

  • 먼저 타자들의 규정타석은 경기수의 3.1을 곱한 타석이 규정타석입니다. 일반적으로 타자가 1경기에서 4타석 정도 들어서니 이를 기반으로 만든 데이트입니다.

    규정이닝은 경기수 X 1로 시즌 144경기 기준으로 144이닝을 투구해야됩니다. 이는 선발투수 기준으로 5이닝은 던져야 규정이닝이 가능합니다.

  • 야구를 할때 리그 내에 투수의 비율 기록을 산정하는 데에서 최소로 필요한 이닝을 규정한걸 규정이닝이라고 합니다. 규정타석은 유자격자를 결정하기 위해 최소 타석수를 규정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