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토목공학

매끈한참고래15
매끈한참고래15

각종 배관이 동파되는 이유가 뭔가요?

그 단단한 쇳덩이가 터진다는게 이해가 안되어 질문드립니다.

주로 연결부에서 새어나가는것이나 이음새가 느슨해져서 터지는 것은 봤어도

배관 몸통 자체가 크랙이 발생하여 중심부에서 철이 깨져서 터지는 경우는 처음보는데..

과연 이런 현상은 뭣때문에 일어나는 것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의 부피가 얼음보다 작기때문에 얼음이 얼면

    부피가 커져 배관에 물이가득차있을경우 동파하게됩니다

  • 물이 얼어서 공간이 커지면서 배관이 깨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수압이 갑자기 높아지거나 너무 낮아져서 배관이 터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배관의 내부에 부식이 발생하거나 약한 지점이 있으면 그 부분이 터져서 배관이 망가지기도 합니다. 따라서, 배관 설치 및 관리 시 부식을 예방하고 수압 등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얼면 부피가 늘어납니다 배관속의 물이 얼면서 부피가 늘어나 팽창되어 배관이 파손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얼게되면 부피가 커집니다.

    수소결합이라는 현상으로 물의 구조가 바뀌기 때문에 부피가 커집니다.

    이힘은 쇠도 크랙을 만들수 있습니다.배관도 얼게되면 약간의 충격에도 따뜻한 배관보다 깨지기 쉽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이 지나가면서 배관과 맞닿는 부분이 먼저 얼며 수로가 좁아집니다.

    점점 많이 얼어지고 완전히 막히거나 매우좁아지면 계속해서 공급되는 물의 압력이 점점 높아지게됩니다.

    얼음이 압력에 의해 떠내려가면 좋겠지만 배관전체적으로 생긴 얼음이기에 이마저도 거의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배관이음새 자체가 이러한 압력을 견디다가 결국에는 터지는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원인은 당연히 낮은 기온의 날씨입니다.

    계량기 내부로 차가운 공기가 스며들어 발생됩니다.

    수돗물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아서 얼기도 하고,

    계량기 보호통이 많이 노후된 경우나

    뚜껑 또는 보온재가 파손되어 발생되기도 합니다.

    ①장시간외출 : 배관에 고여있는 물이 얼어 발생.

    ②보온 미비 : 계량기가 보온이 미흡하여 발생.

    ③계량기 노출(극히 드문 경우이긴함)

    : 노출된 계량기는 직접적인 기온에 영향을 받음.

  • 안녕하세요. 임관수 과학전문가입니다.

    배관 연결 부분이 터지는 것과 배관 몸통 자체가 크랙이 발생 철이 터지는 것은 동일한 반응이지요

    물은 흐르게 되면 쉽게 얼지 않으나 멈춰 있으면 어는점에 도달 시 쉽게 얼게 됩니다.

    물이 얼게 되면 부피가 커지게 되어 배관이 터지게 되는 것이지요

  • 각종 배관이 동파되는 이유는 물 때문입니다.

    물이란 것은 어는점 이하로 떨어지면 얼음이 되는 액체인데,

    이때, 얼음이 되면 부피가 커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배관이 동파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수 있습니다.

    잔수가 남아있는데 급격히 추워지면서 얼게되서 배관이 팽창하여 터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글쓴이님께서 얘기하신 경우는 아마도 배관이 노후화되어 부식이 진행되고 있는 중에 혹한으로 인한 철의 수축 팽창 과정에서

    터진것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