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얌전한등에146
얌전한등에14623.05.30

산업혁명은 노동자들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켰나요?

산업혁명이 사회와 노동계급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 정말 궁금합니다. 산업혁명은 노동계급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켰고, 그 결과 사회는 어떤 식으로 재편이 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30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단 1차 산업 혁명기는 임금은 유지 혹은 약간 상승이지만 노동시간은 30% 이상 증가해서 뜨악한 시대가 맞다. 대략 노동시간이 연 2,400시간 평균에서 3,500시간 평균으로 산업혁명 기간에 노동 시간이 늘어났다는 게 통설이다. 얼마나 늘었는지에 관해 그 레퍼런스는 당시 재판기록을 이용한 추정으로서 최근에 이루어졌는데 범죄는 아무 때나 일어나므로 범죄 발생일과 그 전날 용의자와 증인의 기상 출근 식사 퇴근 취침 등의 행적으로 노동시간을 유추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성인 남성의 노동시간은 대폭 증가했다. 1750년 런던에서 연간 2,631시간, 1800년 3,538시간, 1760년 잉글랜드에서 2,576시간, 1800년 3,328시간, 1830년 3,356시간. 그렇다면 노동생산성 증가 추계는 하향 조정돼야 할 것이다. 여가를 고려할 때 생활수준은 그만큼 낮아졌다. 산업노동 공급은 양적이라기보다는 질적인 문제,즉 노동의 본질적 변화라는 면을 봐야 한다. 주 6일제 50주 근로라고 대충 땡치면 11.5시간 정도가 나온다.


    허나 이런 상황은 19세기의 2차 산업혁명기를 거치며 대부분 나라에서 자연스럽게 완화된다. 이유는 크게 3가지를 꼽을 수 있다.

    인구펌핑도가 줄어들기 시작: 1차 산업혁명 절정기에 그냥 닥치는 대로 낳자 모든 동네들이 절정을 지나면서 출산율이 줄기 시작한다. 그로 인해서 무한의 노동공급이 점차 줄어들기 시작.

    투표권의 점진적 확대: 구미권의 경우는 다수 국가에서 투표권은 점진적으로 확대되었다. 여기서 투표권이 확대되면 돈지랄 갑부도 1표, 거지급도 1표인 세상으로 바뀐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게 노골적으로 나타난 곳이 사민주의가 나온 독일인데 독일의 베른슈타인은 이 상황을 보고 혁명이 아닌 현실정치로 변화가 가능하다고 생각을 하게 되었다.

    숙련공의 필요성: 산업이 어느 정도 고도화가 되면서 숙련공이 필요해지는데. 이 케이스에서 가장 유명한 건 헨리 포드의 급여 인상일 것이다. 다른 나라도 그런 현상이 있었지만 예를 들기에는 헨리 포드가 제일 적절할 것이다. 헨리 포드는 일급을 2배 이상 인상시켜서 5달러로 만들었는데, 경제신문 관련 출판사 책들에선 헨리 포드의 도덕성을 거론하는데 천만의 소리. 미국의 공장은 19세기 기준 이론상 2년만 일하면 서부에서 땅을 살 수가 있었고 전간기는 흑인의 북부 이동이나 서부개척 거의 완료로 노동시장이 변했지만 여전히 공장은 반알바였다. 즉 "몇년 일하고 때려치면 되지 뭐." 딱 그 마음가짐이다. 그래서 이민자들이 뺑이 좀 굴리고 바이바이 하니 공장에서 오래 유지가 안 돼서 고급여 복지 정책이 나온 것이고, 그로 인하여 숙련공부터 대우가 올라갔다. 이 현상은 독일제국도 숙련공 부족으로 인하여 대우 상승, 급여 상승 효과가 일어났다.

    또한 같은 시기에 도시의 인프라가 개선되며 인구를 수용할 여력을 갖춘 것 또한 큰 영향을 미쳤다. 당시 전례없는 인구 증가 및 이촌향도로 인해 도시가 노동자 인구를 감당을 못한 것이 노동자들에게 자본가들의 착취 못지 않은 고통 요소였는데[24] 주택 공급과 상하수도, 교통망, 교육 시설 등이 뒤늦게나마 정비되며 생활수준 향상에 크게 기여한 것이다. 또한 같은 시기 축구, 야구 등의 스포츠 인프라와 휴가, 위락 시설이 정비되며 영국을 비롯한 각국에서 노동계급의 특색을 이루는 특유의 문화가 크게 꽃피었다.

    출처:나무위키 산업혁명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산업혁명 이후의 노동자들의 삶은 매우 비참하였습니다. 자본가들은 임금이 비싼 숙련된 성인 노동자 대신 임금이 싼 부녀자나 아동을 고용하였고 이들은 장시간 노동에 시달렸으며 작업 환경도 열악하였습니다. 실직한 노동자들, 특히 직물업에 종사하던 전통적인 수공 업자들은 산업화에 대하여 매우 강한 반감을 지녔습니다. 이들에 의해 기계 파괴 운동(러다이트 운동)이 전개되기도 하였다고 합니다. 이처럼 당시의 노동 문제는 심각한 사회 문제였는데 노동자들은 열악한 노동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스스로 단합하여 노동 운동을 전개해 나갔다고 합니다. 그 결과 영국의 경우 공장법, 노동조합법 등이 제정되고 선거법이 개정되었으며 점차 노동자의 지위가 향상되었습니다. 기존의 유럽 사회가 영주등의 지배층과 일반 백성의 피지배층의 관계 였다면 산업 혁명을 계기로 자본가와 노동자층으로 구분 되기 시작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산업혁명은 노동자들의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습니다. 기계화와 자동화로 생산성이 증가하고 일자리는 공장과 공업 분야로 이동했

    습니다. 작업 조건은 개선되었고 생산량 증가로 인해 노동자들의 소득도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처음에는 혜택이 주로 소유자와 경영자에

    게 집중되었으며 노동자들은 권리를 얻기 위해 노동 운동을 전개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 구조와 계층 구조에도 영향을 미쳤습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