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

을사늑약은 고종이 체결하지 않았는데 어떻게 효력이 있다고 본 것인가요?

일본이 1905년에 강제로 체결한 을사늑약은 우리나라의 외교권을 박탈당한 치욕적인 사건인데요. 심지어 계약을 우리나라 최고 통치자였던 고종이 승인하지도 않았다는데 이게 효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돌덩어리1599
    돌덩어리1599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외교담당인 외부대신 박제순이란 작자가 서명을 했구요

    어차피 을사늑약 자체가 그냥 서구 열강들이 딴지걸지 않도록하는

    명분쌓기용 요식행위 이기 때문에

    "나는 그런거 모른다"라는 고종의 발언은 힘으로 찍어 눌렀습니다

    애초에 군대 끌고 와서 각료들서명찬성할때까지 가두는 식으로 한 조약인데

    권력도 별로 없는 왕의 발언따위 알바 아니었겠죠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사늑약은 1905년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기 위해 강제로 체결한 조약입니다 고종이 참석하지 않은 가운데 열린 궁중의 어전 회의에서도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자 일본 공사가 이토를 불러 왔고 하세가와를 대동하고 헌병의 호의를 받으며 들어온 이토는 다시 회의를 열고 대신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대하여 조약 체결에 관한 찬물을 물었는데 이날 밤 이토는 조약 체결의 찬성하는 대신들과 다시 회의를 열고 자필로 약간의 수정을 가한 뒤 위협적인 분위기 속에서 조약을 승인 받았는데 박지순 이지용 이근택 이완용 권종현의 다섯 명이 조약 체결에 찬성한 대신들로서 이를 '을사오적'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그만큼 고종은 국왕이었지만

    힘이 없는 등 이에 따라서 각 부의 대신들이

    이를 체결하여 효력이 있던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