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삭힌 음식의 대표적인 홍어는 우리나랑에서 언제부터 먹기 시작했나요?
우리나라의 삭힌 음식의 대표적이고 호불호가 갈리는 음식인 홍어는 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먹기 시작했나요?
홍어를 먹게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삭힌 홍어를 먹기 시작한 것은 고려시대로 알려져 있습니다. 흑산도에서 잡힌 홍어를 영산포까지 가져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효된 것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이 당시 홍어를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이동 중에서 자연스럽게 발효되었으며, 그 맛과 향이 독특해 인기를 얻게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홍어를 삭혀서 먹게 된 기원이 여러 가지로, 그중 하나로는 풍랑으로 인하여 산지인 흑산도에서 육지까지 배로 잡은 홍어를 옮겨오는 기간이 길어져 그동안 홍어가 저장고에서 자연스레 발효되었는데, 이를 맛본 사람들이 독특한 풍미를 좋아하였다는 설이 전해집니다.
또 다른 기원은, 고려 시대 왜구의 노략질이 극에 달할 때 조정에서 흑산도와 같은 왜 와 인접한 남부 도서지역을 일일이 방비하기 힘들어지자 백성들을 본토로 피신시키는 공도정책을 취했는데, 이때 섬 주민들이 비교적 귀한 생선이었던 홍어를 두고 오지 못하고 항아리나 볏짚에 싸서 챙겨왔다가 육지로 가던 도중 더운 날씨로 모두 삭아버린
것을 차마 버리지 못하고 그대로 먹은 것이 정착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이와 비슷하게, 공도정책이 풀리고 다시 돌아온 섬 주민들이 섬에 두고 갔던 홍어가 삭아버린 것을 아까워서 그냥 먹게 된 것이 기원이라는 설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