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이 요새 오르락 내리락하는데 앞으로 어떻게 될지 궁굼합니다.
요새 자본주의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데
달러가 기축통화 다 보니 달러 저축을 할까 하는데
요새 환율이 너무 왔다 갔다 해서 지금 달러 저축을 하는게 맞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앞으로의 환율에 대해서 어떻게들 생각하시는지 전망이 궁굼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앞으로 미국이 금리를 인상할 확률보다는
인하할 확률이 높아보이며 그리고 우리나라도
미국만큼은 아니더라도 금리를 어느정도 인하폭은 적을 것으로 보기기에
앞으로 환율은 조금이나마 더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환율이 오르락 내리락 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마도 미국 기준 금리가 더 내려가게 되면
원-달러 환율 역시 더 내려갈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렇기에 앞으로는 하락할 것에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달러의 가치는 앞으로 더 하락할 가능성이 높은데, 그 이유는 미국 기준금리 인하 기조가 올해 말까지는 이어져 최대 0.5%p 더 인하될 것이기 때문이에요. 달러의 가치가 하락하면 원달러 환율도 내려가 지금 달러투자를 하면 손해 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 내년은 미국이 기준금리 인하를 하는 시기라서 내년까지는 기본적으로 달러가 약세를 보일 확률이 높습니다
달러를 사서 장기투자를 할게 아니면 지금 단기 매수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장기투자의 경우 올해 내년 분할매수 관점으로 접근하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달러 환율은 여러 요인에 따라 변동성이 큽니다. 미국 경제가 강세를 보이고 금리가 높게 유지되면서 달러가 강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하를 고려하기 시작하면 달러 강세가 약해질 수 있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다른 국가들의 경제 회복이 더뎌지거나 금리가 미국보다 빨리 내려가면 달러 강세가 더 오래 지속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환율은 2024년 10월 2일 기준 1,312.50원 (USD)이고 이는 9월 19일의 1,335.20원임었음으로 2주 사이에 20원 이상 하락했습니다.
환율의 전망보다 어려운 것이 없는데 이는 경제적, 정치적 요인이 환율에 큰 영향을 미쳐 예측이 어렵고 미국의 성장률, 인플레이션, 금리 정책이 달러 가치에 영향을 받으며 세계 경제 상황, 무역 관계, 지정학적 리스크가 환율 변동에 기여하기 때문입니다. 더하여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률, 수출입 동향, 금리 정책이 원/달러 환율에 영향등의 영향을 받습니다.
달러저축에 고려할 사항으로는 다양한 통화와 자산에 투자해 리스크 분산, 단기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말고 장기적으로 접근, 정기적으로 일정 금액 투자(달러코스트평균법)가 필요하단 사료됩니다.
결론적으로, 환율의 단기 변동에 너무 민감하게 반응하기보다는 장기적인 재무 목표에 맞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빅컷으로 인해 달러화 가치는 떨어질 것이며 현재도 환율이 내려가고 있습니다.
이런 추가적인 금리인하가 있을경우 달러 가치는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