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반듯한매미13
반듯한매미1323.01.17

헬륨가스에는 어떤 성분이 들어 있어서 목소리가 변하는지 궁금합니다

TV 예능을 보다 보면 한 번씩 헬륨가스를 마시고 말을 하면 목소리가 웃기게 들리는데 이 원리는 어떻게 된 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 가스가 안 좋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

    Q1: TV 예능을 보다 보면 한 번씩 헬륨가스를 마시고 말을 하면 목소리가 웃기게 들리는데 이 원리는 어떻게 된 건지 궁금합니다

    A: 헬륨은 공기보다 밀도가 상당히 낮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헬륨가스를 마시면 매질이 공기에서 헬륨으로 변하고,

    밀도가 상당히 낮아져 진동이 빨라지게 됩니다.

    진동이 빨라져 진동수가 많아지면 우리의 목소리는 평상시보다 훨씬 높은 소리가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Q2: 그리고 이 가스가 안 좋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A: 한꺼번에 헬륨가스를 많이 마시면 혈류장애를 일으키거나 뇌에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사망할수 있다고 하니 조심해야겠네요~

    자료: https://www.yna.co.kr/view/AKR20220929021800797

    즐거운 하루 되세요


  • 목소리를 내는 소리의 진동수는 공기의 밀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밀도가 낮으면 빠르게 움직이고, 밀도가 높으면 천천히 움직입니다.

    헬륨은 공기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소리의 속도가 약 3배 빨라집니다.

    이러한 속도가 빨라져 진동수가 높아지고 일시적으로 목소리가 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경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마다 목소리가 다른 이유가 성대의 진동이 서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진동의 수는 소리의 높낮이를, 진동의 폭은 크기를, 진동의 모양은 사람마다 다른 목소리를 결정합니다

    헬륨은 공기보다 밀도가 낮아 헬륨을 통과하는 소리의 속도가 공기를 통과할 때보다 2.7배나 빨라집니다. 헬륨이 공기보다 밀도가 낮다는 것은 헬륨을 이루고 있는 물질들이 공기보다 덜 뭉쳐 있다는 것이며 소리가 더 빨리 지나갈 수 있어 성대의 진동수도 2.7배 늘어나면서 평소보다 높은 소리를 냅니다

    헬륨을 많이 마시면 폐 안에 산소가 부족해져 질식하게 되므로 조심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먼저 목에서 소리가 나는 원리부터 알아야겠네요

    목에서 소리가 나는 이유는 목에 있는 성대라는

    조직을 통해 공기를 진동시켜서 목소리가 나게 됩니다.

    여기서 헬륨가스는 분자량이 4정도로 일반공기에 비해 무게가 1/4밖에 나가지 않습니다.

    이렇게 가벼운 헬륨가스를 마시게 되면 성대가 똑같이 진동을 하게 되더라도 공기가 떨리는 정도와 헬륨가스가 떨리는 정도는 다르게됩니다.

    이렇게 헬륨가스를 이용하는 또 다른 이유는 상당히 안정적이며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7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소리를 내는 방식은

    성대를 울려 매질인 공기를통하여 목소리를 내게 되는데요

    헬륨은 공기보다 밀도가 낮아 더 가는 소리를 내게 되고

    따라서 헬륨을마시면 웃기는 목소리가 나게 되는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