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용어로 작업증명 방식인 pow있잖아요.
가상자산 중에서 대부분이 작업증명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러한 이유와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쉽게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분증명 방식을 아시려면 작업증명 방식도 아셔야합니다.
비교해서 설명을 드릴게요. 먼저 보기 쉽게 서로의 차이점을 설명드리면,
PoW(Proof of work)
작업증명 = 채굴기를 통한 Mining
채굴을 통해 코인획득
PoS(Proof of Stake)
지분증명= 가진 코인(지분)을 통해 코인을 획득
다음으로 PoW(작업증명)와 PoS(지분증명) 의 장단점을 설명드릴게요!
PoW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지만 전문 채굴업자가 아닌 개인이 채굴하기는 어려운 현실 입니다.
많은 양의 전기 또한 필요로 하기 때문에 더더욱 개인이 채굴을 하기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또한 속도 측면에서도 처음부터 계산을 하다 보니 블록체인의 속도가 느려 실제 생활에 활용하기에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PoS는 지분증명 방식이기에 PoW의 비해 전련 소비가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PoW와는 다르게 지분이 있어야 참여 가능하다는 점이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분증명 이기에 부익부 빈익빈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지분증명은 참여를 통한 보상이 소유한 코인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죠.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Pow의 장점을 요약하면 분권형 경제 민주주의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모든 거래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참여의 기회가 주어지며 실제적으로 자신의 컴퓨팅 파워를 사용하여 참여를 한 사람에게는 보상이 이루어집니다. 그리고 최대의 보안성과 비가역성이 있습니다. 거래의 기록을 변경할 수 없으며 악의적 공격을 막아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채굴이라는 과정을 통해 발행됩니다. 이때 쓰이는 대표적인 방법이 작업증명방식인데요. 해당 방식은 연산능력이 뛰어난 컴퓨터를 활용해서 문제를 해결해야 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크고 발열량이 많습니다. 또한 거래내역 검증 및 기록과정에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탈중앙화 시스템이기 때문에 중앙기관 없이 개인 간 거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채굴량이 정해져 있어 희소성이 있다는 점에서는 단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작업증명방식과 같은 경우에는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고성능의 컴퓨터와 많은 전기에너지가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