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금니뿌리염증 관하여질문드려요.
금크라운씌운 어금니뿌리염증이 생겼는데
1년전에도있었다는걸 이번에치괸가보고알았는데요
아프지않으면치료하지않아도 된다했었다고
지금도 아프지않으면 놔두고 아프면치료하자하시는데
이부분이맞는걸까요?
아파서 하게되면 신경치료를하면 구멍뚫어서하자는데 이경우 새로크라운을씌우는게좋을까요?
Ct사진인데 이경우 재신경치료 확률이 어뜨케될까요?
1년전이랑지금이랑 크기는그대로인데 놔둬도될까요?
치료법은 신경치료.임플란트.치아재식술이있는데
신경치료-치아재식술or임플란트 이게맞는거죠?
염증은 구강관리잘하면 안사라지나요?
다른치과에서는 크라운뒤에 사랑니있던자리에홈이있다고 크라운을벗겨봐야 기구가 들어가는지 확인후 치료가능여부를 알수 있다는데
이게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치과의사 정경호입니다.
신경치료 후에도 치아뿌리 염증의 크기가 줄어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염증의 크기가 유지되면서 증상이 없다면 그대로 지내셔도 됩니다. 주치의 선생님 판단대로 따라가셔도 되겠습니다.
재신경치료는 성공률이 낮습니다.
불편한 것이 없다면 쓸때까지 쓰다가 추후 불편시 발치 후 임플란트를 하시는게 무난합니다.
살려보려는 의지가 있으시면 재신경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으나 성공률이 낮고, 장기 생존률도 의문스럽습니다.
이점은 유념해 두고 치료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치과의사 김철진입니다. 치아 뿌리끝에 염증이 생긴경우에는 재신경치료를 하시거나 재식술을 고려해볼것같습니다. 신경관이 c-type 라고해서 굉장히 까다로운 치아인건 맞습니다.
증상이 없고, 1년 지나도 크게 염증이 커지거나 하지 않는다면 계속 이대로 추적 관찰을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재신경치료를 하는 경우 크라운 뜯고 진행하는 것이 훨씬 더 나은 치료결과를 가져옵니다.
치아재식술, 치근단 절제술의 경우 크라운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수술에 대한 부담이 있을 순 있습니다.
임플란트는 치아를 발치하게 되었을 때의 치료 옵션입니다.
양치질 잘한다고 사라지는 염증은 아닙니다.
사진으로 봐서는 뿌리 끝에 병소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평소의 원인이 신경관 내부에 있다면 신경 치료를 하게 되면 괜찮아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재신경 치료를 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재심경 치료할 때는 보철물을 제거해서 치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