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은혜로운고릴라272
은혜로운고릴라27222.12.29

추우면 왜 몸이 부들부들 떨리나요?

추우면 몸이 부들부들 떨리는데요

날씨가 추워지면 몸 뿐만 아니라

마음마저 추어지기 마련인데요

날씨가 추우면 왜 몸이 떨리는 건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9

    우리몸에서 열을 만들어내는 부분은 근육이며, 발생된열을 보존하는 부분은 피하지방이고, 이열을 온몸으로 분산이동시키는 것은 혈액입니다.

    날씨가 추워 몸의 체온이 떨어지게 되면 근육은 떨림을 일으켜 열을 내려고 합니다. 하여 춥게되면 우리몸이 떨리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은 약 36.5℃의 일정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체내에서 열을 발생시킵니다. 이 열의 일부는 체온을 유지하는 데 사용되고, 나머지 일부는 피부 표면을통해 방출됩니다.

    우리가 쾌적함을 느낄 때에는 체내에서 생성되는 열과 피부 표면에서 방출되는 열의 양이 같을 때입니다.

    즉 추위를 느낄 정도라면 체내에서 생성되는 열보다 방출되는 열이 많을 때라는 것입니다.

    체온이 정상보다 낮아지면 인체 내부는 몸이 느끼는 추위를 몰아내기 위해 열을 발생시키거나 열 방출량을 최소화하는 작업에 들어가게 되는데, 체온 조절은 간뇌의 시상하부가 담당합니다.

    낮아진 온도를 피부 감각점이 느끼면 간뇌의 시상하부는 뇌하수체 전엽을 자극합니다. 뇌하수체 전엽은 부신피질자극호르몬과 갑상선자극호르몬을 분비하는데, 부신피질에서는 당질코르티코이드를, 갑상선에서는 티록신을 분비하게 합니다.

    당질코르티코이드와 티록신은 간과 근육에 작용하여 물질대사를 촉진하며 열발생량을 증가시키는 물질입니다. 이들은 골격근을 수축해 인체의 '전율'을 주도함으로써 열발생량을 증가시킵니다. 이밖에 열의방출을 감소시키기 위한 작업으로 피부와 피부혈관이 수축되고, 털이 곧게 서게 됩니다.

    추울 때 노출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웅크리는 것도 추위에 대응하기 위한 하나의 행동입니다. 무의식적인 근육 운동과 떨림은 평상시의 4배까지 열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즉 떨림을 이용해 체온을 높이는 것은 추위를 이겨내기 위한 너무나 자연스러운 '대응'이라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추울 때 몸을 떠는 이유는 대뇌가 열을 더 생산하기 위해 몸을 떨게하기 때문인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추울 때 생기는 가장 흔한 증상인 떨림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생존 반응이다. 또한 열의 방출을 최대한 막기 위해 피부와 혈관이 수축되고, 털이 꼿꼿해지고, 소름이 돋는다. 그리고 추울 때 웅크리게 되는 것 역시 마찬가지로 노출 면적을 줄여 추위에 대응하려는 자연스런 행동이다


  • 날씨가 추워지면 몸 안에서 방출되는 열이 많아 체온이 더욱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우리 몸은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 안에서 열을 더 많이 만들어야 됩니다.

    이를 위해 근육을 여러번 수축, 이완하며 열을 생산하고, 이것이 몸이 부들부들 떨리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체온이 낮아지기 때문에 뇌가 임의적으로 몸을 흔들어서 체온을 올리게 하는겁니다. 소변을 많이 보면 몸이 자동으로 떨리는 것도 같은 이치입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