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철학

냉철한불독44
냉철한불독44

조선시대 선비 김득신은 공부방법으로 유명하던데, 어떤 공부법이 있었나요?

조선시대 선조시절 선비 김득신은 문명을 크게 떨친 인물로 유명한데요. 특히 독특한 공부방법으로 알려졌다는데, 어떤 공부법이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어릴 때 천연두를 앓아 노둔한 편이었으나, 아버지의 가르침과 훈도를 받아 서서히 문명을 떨친 인물이다. 당시 한문사대가인 이식(李植)으로부터 “그대의 시문이 당금의 제일”이라는 평을 들음으로써 이름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공부할 때에 옛 선현과 문인들이 남겨놓은 글들을 많이 읽는 데 주력하였는데, 그 중 「백이전(伯夷傳)」은 1억 1만 8천 번(1억 번은 현재의 10만 번에 해당)이나 읽었다고 하여 자기의 서재를 ‘억만재(億萬齋)’라 이름 하였다. 저술이 병자호란 때 많이 타 없어졌으나, 문집인 『백곡집』에는 많은 시문이 전하고 있다.


    그 중 시가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가 문보다는 시에 능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오언·칠언절구를 잘 지었다. 「용호(龍湖)」·「구정(龜亭)」·「전가(田家)」 등은 어촌이나 산촌과 농가의 정경을 그림같이 묘사하고 있는 작품들이다.


    시를 잘 지었을 뿐만 아니라 시를 보는 안목도 높아, 『종남총지(終南叢志)』 같은 시화도 남겼다. 이에는 어무적(魚無迹)·이행(李荇)·정사룡(鄭士龍)·정철(鄭澈)·권필(權韠) 같은 앞 세대 유명시인 등과 남용익(南龍翼)·김석주(金錫胄)·홍만종(洪萬宗) 같은 당대 문사들의 시를 뽑아, 거기에 자기 나름대로의 비평을 덧붙였다.


    그리고 그는 술과 부채를 의인화한 가전소설 「환백장군전(歡伯將軍傳)」과 「청풍선생전(淸風先生傳)」을 남기기도 했다.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득신은 책을 수없이 읽었습니다. 사마천의 사기열전 백이열전 부분을 1억 1만 3천번 읽은 것으로 유명하며 부인이 먼저 죽어 장례를 치르는데 곡은 하지 않고 백이열전을 읽었으며, 당시 1억이 지금의 10만을 나타내는 단위로 현대 기준으로 11만 3천번 읽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경국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득신은 한국 조선 왕조의 저명한 학자였습니다. 그는 유교, 문학, 역사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전문성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김득신은 학자로서 당시의 전형적인 엄격하고 체계적인 학문을 답습했습니다. 그의 연구 방법의 몇 가지 주요 측면은 다음과 같습니다.

    1.유교: 유교는 조선 시대 교육의 기초를 이루었고, 김득신은 유교를 연구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습니다. 이것들은 4권의 책 (대학, 중용, 유교 논어, 맹자)과 5권의 고전 (시서, 문서, 예서, 이칭, 춘추 실록)과 같은 작품들을 포함했습니다.

    2.과거: 김득신은 당대의 많은 학자들과 마찬가지로 괘고로 알려진 과거에 합격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이 시험들은 매우 경쟁적이었고 역사와 법과 같은 다른 과목뿐만 아니라 유교 고전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요구했습니다. 김득신은 이 시험들을 준비하고, 과거 시험지를 공부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그의 지식을 다듬는 데 상당한 시간을 보냈을 것입니다.

    3.개인 교습: 조선시대의 학자들은 학문을 보충하기 위해 과외를 자주 했습니다. 김득신은 자신의 이해를 심화시키고 지식을 연마하기 위해 저명한 학자들에게 지도를 구하고 특정 과목의 개인 교습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4.조상들의 의식: 학문적인 연구 외에도, 유생들은 또한 제사를 지내는 데 시간을 바쳤습니다. 이 의식들은 사회 질서와 조화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것으로 여겨졌으며 고대 문헌과 올바른 의식 예절에 대한 연구를 포함했습니다.

    5.문학적 추구: 김득신은 또한 그의 문학적 업적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고전 중국 문학을 광범위하게 읽고 그의 학문적인 추구의 일부로 시와 수필을 작곡한 것 같습니다. 그 당시에 글쓰기는 학자들에게 필수적인 기술로 여겨졌습니다.

    6.학술 모임: 학자들은 종종 학술원과 문학계에 모여 지적인 토론과 토론에 참여했습니다. 이 모임들은 김득신과 같은 학자들이 의견을 교환하고, 지식을 공유하고, 다양한 주제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습니다.

    전반적으로, 김득신의 공부 방법은 엄격한 독학, 고전과의 참여, 개인 과외, 그리고 학문적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포함했을 것입니다. 다양한 학문과 학문에 대한 그의 헌신은 조선 왕조의 저명한 학자로서의 명성에 기여했습니다.